728x90

SAP 시스템에서 개발을 시작하려면 계정 별로 Access Key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ccess Key 발급받는 방법을 써보려고 합니다.

새로 개발자 계정을 하나 만들어줍니다.

T-Code SU01 실행하셔서 생성하고자 하는 계정을 생성해주세요.

(상세한 계정 생성 과정은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발급을 위해 support.sap.com  접속해주세요.

상단 메뉴에서 My Support > Keys > Developer & Object Keys (SSCR)  클릭합니다.

 

SSCR 화면에서 Launch the SSCR Application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현재 여러분의 S-User 계정이 가지고 있는 개발자 키들이 나옵니다.

새로 등록하기 위해 오른쪽 아래에 Register 버튼을 눌러주세요.

 

등록하고자 하는 SAP User명을 입력합니다.

여러 개를  번에 등록할  있으니 여러 줄에 걸쳐서 입력하셔도 됩니다.

입력을  하셨으면, Installation Number 선택하고 Register 버튼을 누릅니다.

 

 생성이 되었네요! 이상으로 Developer Access Key 발급이 끝났습니다.

 

반응형

'5.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 BC Client 설치  (0) 2022.05.12
SAP - BC Spool 관리 TemSe 관리  (0) 2022.05.12
SAP - BC 차근차근 (1)  (0) 2022.05.12
SAP 사용자별 권한 및 T-CODE 조회 방법  (0) 2020.10.02
SAP 절차  (0) 2020.10.01
728x90

(1) CTS (Change and Transport System)

SAP 시스템은 보통 개발-검증-운영 3 Landscsape 구성됩니다. (경우에 따라 검증 시스템이 빠져서 2 Landscape 구성할  있습니다. 물론 권장사항은 아닙니다.)

이때 개발 시스템에서 개발한 ABAP 프로그램 같은 것들을 운영 시스템에 반영해야  때가 찾아옵니다. 이럴 때에 쓰이는 것이 CTS 입니다. Change and Transport System  그대로 변경사항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인 것이지요. 여기서 Target 말하자면, 개발 시스템의 Target 시스템은 검증 시스템이고, 검증 시스템의 Target 시스템은 운영 시스템인 셈입니다.

(2) TMS (Transport Management System)

CTS 안에는 TMS라고 하는 관리 시스템이 있습니다.  TMS 사용해서 Transport Domain 생성/관리하고, System Landscape 구성/관리할  있습니다.

Transport Domain이란 쉽게 말해, 변경사항을 적용할  있는 그룹을 말합니다.  Transport Domain 내에 있는 시스템끼리만 변경사항 적용이 가능한 것이지요.

TMS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T-Code STMS 실행해주세요.

STMS 메뉴 중에 Transport Routes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저의 시스템은 3 Landscape 이며, TEP 진짜 저의 시스템이고, VIR PRD Virtual System으로 실체 없는 허상입니다.

 

 위의 캡쳐를 보면 Transport Layer, Delivery라고 되어 있는 것이 있지요?

개발 시스템인 TEP에서 검증 시스템인 VIR 가는 것에는 Transport Layer 연결되어 있고, 검증 시스템에서 운영 시스템인 PRD 가는 것에는 Delivery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건 무엇을 의미할까요?

우선 개발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를 변경하면 Change Request 통해 검증 시스템으로 넘어갑니다. 이때 변경한 오브젝트가 SAP Standard Object라면 SAP 라고 이름 붙여진 Transport Layer 통해 검증 시스템으로 가고, CBO Object라면 ZTEP라고 붙여진 Transport Layer 통해 갑니다. 이렇게 그룹핑 해주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Delivery 무엇일까요?

 글의 위에서 Change Request 릴리즈해야 다음 시스템에 넘어간다고 말씀드렸는데, Delivery 연결된 시스템 간에는 릴리즈가 따로 필요 없습니다. , 승인 절차는 따로 필요하죠. 테스트도 끝나지 않았는데 멋대로 반영되면 안되니까요.

이렇게 Transport Layer Delivery 나눈 이유에 대해 생각해봤는데, QA(검증)에서는 별도 변경을 하지 말라는 의미이지 않을까요? ㅎㅎ QA에서는 테스트만 하고 테스트 후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개발 시스템에서 다시 수정하고 절차에 따르라는 의미인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Change Request 개발 > 검증 > 운영 순으로 반영할  있는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반응형

'5.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 BC Spool 관리 TemSe 관리  (0) 2022.05.12
SAP - BC Developer & Object Key 관리(2)  (0) 2022.05.12
SAP 사용자별 권한 및 T-CODE 조회 방법  (0) 2020.10.02
SAP 절차  (0) 2020.10.01
SAP - BC - 모니터링 점검 리스트  (0) 2020.10.01
728x90

ERP 구축에 필요한 내용

1. 조직 구성원 저항에 극복 필요

2. 경영진과 실무진 간 관점 절충

3. 직원의 적극적인 참여유도

4. 명확한 RFP 작성

5. 구축방법론이 있는 ERP 공급사 선정

 

반응형
728x90
 


1. 제품 기능의 정교함과 더불어 경험 많은 컨설턴트 유무 확인

우수한 ERP라는 것의 정의를 내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는 최신 기술이 포함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멋있어 보이는 것 일수도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 제공되는 패키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는다면 많은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하게 되며 비용의 증가는 물론 시스템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질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자사의 전체 업무프로세스를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개선해야 할 프로세스를 파악한 후 자사의 인력 등 자원 현황에 따라 현실적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패키지를 선정하는데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잘못된 패키지 선정은 ERP 구축 시 다수의 커스터마이징 등을 유발하여 비효율적인 일정과 비용을 발생 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예상치 못한 제약으로 인하여 당초 기대했던 목적을 달성하지 못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ERP 시스템이 원가관리 기능을 지원해야 하는 경우, 단순히 원가가 계산되는 것 자체보다는 얼마나 정교하게 관련 정보들을 반영하여 정확히 산출되느냐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로 ERP내의 원가 관련 기능의 수준이며 이러한 기능이 부족한 시스템을 선택할 경우에는 기업이 목표로 하는 결과를 얻는데 실패할 것 입니다.
 
하지만, ERP 시스템의 구축은 소프트웨어 개발전문가들만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ERP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기업 현장의 업무를 이해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대안을 줄 수 있는 업무전문가가 필요합니다. 또한 ERP 시스템은 단순한 업무용 소프트웨어와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내용이 방대하고 섬세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할 수 있는 ERP 컨설턴트가 필요합니다. ERP를 선택할 때 패키지 검토는 물론 이러한 능력 있는 컨설턴트의 충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2. 최적의 ERP 구축 추진팀(TFT)의 구성

TFT는 회사의 전체 또는 해당 업무 프로세스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고 ERP 구축 과정에서 대두될 수 있는 문제점과 회사에 요구되는 ERP 구축 결과의 모습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직원들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ERP 구축 시 현업 TFT 구성원은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시간이 가능한 직원을 선발하거나 직급이 낮은 직원에게 떠넘기어 구성하기 보다는 회사에 오래 근무하여 경험이 많으면서 가능하다면 경영관련 지식을 가지고 있는 임직원을 반드시 포함하여 구성하여야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기대할 수 있을 것 입니다.
 
프로젝트 진행 시에는 통상적으로 컨설턴트 및 개발자 등의 공급사의 인원과 구축 기업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현업 TFT가 참여하게 됩니다. 이때 어느 쪽이라도 ERP 구축을 위해 요구되는 적절한 능력이 부족하다면 진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고 잦은 이슈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 입니다. 특히 다른 구성원보다도 공급사의 프로젝트 관리자(PM)와 구축 기업의 현업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충분한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의 여부가 전체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입니다.
 
특히, 현업 프로젝트 관리자는 ERP가 구축되는 기업의 대표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공급사 컨설턴트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ERP 공급사와 자사 내부간의 이견을 합리적으로 조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에 걸맞는 충분한 자질이 부족할 경우에는 프로젝트 진행 자체가 어려워 질 수도 있습니다. 다른 모든 조건이 충분하더라도 프로젝트 관리자를 비롯한 TFT 구성원의 자질이 부족하여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높은 인원으로 TFT를 구성하고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의지를 높이기 위해 강한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ERP 도입의 목적은 결국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이기 때문에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현업의 의견도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기존 업무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도출하고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현업 업무 담당자들을 TFT에 (비상임이라도)포함시켜서 프로젝트 진행 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반응형

'KOREA > 0.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도입] 절차서  (0) 2022.05.26
ERP 구축  (0) 2022.04.25
[Check List] 시스템 구축 단계  (0) 2022.01.26
[기획] 메뉴 구조도  (0) 2021.12.07
[기획] 기획하면서 필요한 문서 - 2  (0) 2021.12.07
728x90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 IT 인프라를 빌려주는 서비스

PaaS : Platfrom as a Service
SW
를 개발할 때 필요한 플랫폼(개발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SaaS : 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공받는 서비스

DR센터 : Disaster Recovery Center (=재해 복구 센터)
천재지변이나 테러, 파업, 전산사고 등으로 전산센터가 마비될 경우 제3의 장소에 주센터와 유사한 전산시스템을 갖춘 재해복구센터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함.

내용연수 : durable years
고정자산의 이용가능 연수

프레임워크
SW
어플리케이션이나 솔루션 개발을 수월하게 하기위해 SW 구체적 기능에 해당하는 부분의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협업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SW환경 (라이브러리와 비슷)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
,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행동을 했을 때 이를 서버가 알아들을 수 있는 요청 값으로 전달하는 역할

가용성 : Availability
시스템이 장애 없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능력

MPLS :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인터넷의 백본망 등에서 대량의 트래픽 처리를 고속으로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
패킷의 헤더에 라벨을 추가하여 라우터가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거치지 않고
next-hop
으로 패킷 전달. 정해진 경로로 패킷이 전달됨에 따라 마치 전용선을 구축한 효과
전용선 구축 비용보다는 저렴
MPLS
망 인증과 암호화 기능이 없어 보안에 취약하여, IPSEC VPN 같은 암호화 방식을 병행해서 단점을 보완하기도 함.
SD-WAN
으로 바꾸면 비용 더 절감 가능…( 더 효율적인 WAN 환경 구축 및 MPLS의 고비용과 저품질에 대한 해결책)

IPSEC : Protocol Security
노드 간 통신의 보안 확보를 위해 인증, 데이터 무결성 보장, 암호화 등을 담당.

 

SSL-VPN : Secured Socket Layer Virtual Private Network
장소나 단말의 종류와 관계없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SSL 기반의 가상 사설망(VPN). SSL은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도중에 해킹을 통해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정보의 내용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보안 솔루션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SSL VPN은 원격지에서 인터넷으로 내부 시스템 자원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IDC : Internet Data Center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을 제공하는 시설

SAN : Stroage Area Network
서버와 스토리지 간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파일 서버
스토리지를 일정한 구역내에서 이용가능하게 만드는 기술, 광네트워크(FC)를 이용해 속도 증가

서버 프로비저닝
IT
인프라를 설정하는 프로세스.. 필요한 리소스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서버를 설정하는 서비스. 새로운 시스템을 생성한 후 가동 상태로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작업은 물론, 해당 시스템에 대해 원하는 상태를 정의하는 작업도 포함된다.
서버 프로비저닝은 데이터센터에 물리적 하드웨어 설치, 소프트웨어 설치 및 설정,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포함, 미들웨어와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연결로 이루어진다.

무결성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데이터에 결손과 부정합이 없음을 보증하는 것

웹방화벽 : Web Application Firewall, WAF
방화벽은 IP 주소와 포트를 기반으로 차단하는 솔루션. 그패킷의 실제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기반의 공격을 막아줌.
웹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검사하여 악의적인 코드나 공격 유형이 포함된 트래픽을 차단해 주는 방화벽을 말합니다.

스파이웨어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잠입해 개인정보를 빼가는 소프트웨어

키로깅
다른 사람이 키보드로 입력한 비밀번호 따위를 컴퓨터 해킹 프로그램을 통해 몰래 훔치는 일

NAC : Network Access Control
비인가된 정보기기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 네트워크 장애, 해킹에 대비 및 정보 자산을 보호

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문서 암호화 보안. 허가된 사용자에게 문서 읽기, 쓰기 권한 부여. 파일 암호화 및 복호화.
DRM
없는 업체에 파일을 전달 해야하는 경우 복호화하는데 이때부터는 추적 불가.

: Worm Virus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작업을 지연 또는 방해하는 악성프로그램. 자신을 복제하고 전파함

DDos :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해킹 방식의 하나로서 여러 대의 공격자를 분산 배치하여 동시에 '서비스 거부 공격(Denial of Service attackDoS)'을 함으로써 시스템이 더 이상 정상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
공격 목표인 사이트의 컴퓨터시스템이 처리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분량의 패킷을 동시에 범람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시스템을 마비

 

반응형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언어 과제물 A형 문제  (0) 2021.05.05
전산용어 모음집  (0) 2020.10.02
728x90

#SAP #공부 #ABAP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ERP 시스템으로 SAP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방법이 희소성을 띌 정도로 작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를 띄면서 (NVH - SAP) 시스템 도입을 하는데 참고할 만한 서적이 정말 적다

결국 업체의 역량 또는 노하우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정말 답답해 미칠 지경이다. 머가 참인지 머가 거짓인지를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나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 판단하에 이렇게 글을 적어본다 

오늘 부터 SAP에 대해서 파헤쳐 볼려고한다.

1. GUI 설정 및 사용

2. 주요 모듈 소개

3. 기본사용 방법

4. 유지보수 기능

5. 시스템 관련

6. ABAP 개발 관련

7. S/4 HANA 버전 특징 

여기까지 일단 배우는대로 닥치는대로 적어 진행 해 볼 생각이다.

SAP를 처음 접하는 책임자에게는 개념과 체계를 IT담당자에게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5. S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werBuilder] - P.B 와 SAP 연결  (0) 2023.01.05
[PowerBuilder] - P.B 와 SAP 연결  (0) 2022.12.14
SAP R3 ABAP 프로그램 정리.  (0) 2020.10.08
SAP HANA 장점  (0) 2020.10.01
SAP 중복 로그인 방지 Source  (0) 2020.10.01
728x90

#DB2 #테이블복구 #조인업데이트

테이블 복사 방법
CREATE TABLE nvhnlib.EBBAS43I0P_if AS ( SELECT * FROM nvhnlib.EBBAS43I0P) WITH DATA

테이블 복구 UPDATE EBBAS44i0P t1 
SET t1.opt_nm = ( SELECT t2.opt_nm
FROM EBBAS44i0P_0204 t2 
WHERE t1.item_cd=t2.item_cd) 

다른 테이블 Join 후 Update
UPDATE EBBAS44i0P t1 
SET t1.opt_nm = ( SELECT t2.item_cd
FROM test_kim t2 
WHERE t1.item_cd=t2.vnd_cd) 
WHERE t1.item_cd IN  ( SELECT t2.vnd_cd
FROM test_kim t2 

반응형
728x90

일반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구축(Construction), 구현(Implementation) 등 4단계 과정을 거쳐 구축된다. 그런데 ERP시스템은 업무프로세스 자체를 개선하는 경영정보시스템이므로 구축 전 사전준비활동(목표수립, 업무분석)부터 시작하여 시스템을 정착하기까지 단계별로 구분하여 수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정보시스템 구축단계 뿐 아니라 사전준비단계 및 안정화단계도 포함하여 감리단계를 구분하였다.

각 단계별 주요 Task 및 산출물과 감리점검항목은 다음과 같다.

계획단계

TASK산출물감리점검항목프로젝트수행계획 수립Kick-Off변화관리실행계획 수립
프로젝트 수행계획서 프로젝트 도입범위 및 계획수립의 적정성 검토
프로젝트 팀 구성의 적정성 검토
현업사용자 참여 구성의 적정성 검토
Kick-Off 보고서
변화관리 실행계획서 변화관리 실행계획 수립의 적정성 검토

분석단계

TASK산출물감리점검항목환경분석인터뷰벤치마킹핵심요소 분석As-Is 분석PI 추친과제 정의변화관리IT
내/외부 경영환경 분석서 프로젝트 비전과 목표 설정의 적정성 검토
프로젝트 비전 및 전략 보고서
인터뷰 계획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의 적정성 검토
인터뷰 결과서
벤치마킹 계획서 벤치마킹 수행의 적정성 검토
벤치마킹 결과서
CSF 및 KPI 정의서 업무 프로세스와 업무기능분석의 적정성 검토
As-Is 분석서
요구사항 정의서
PI 추진과제 정의서 미래 업무프로세스 정의의 적정성 검토
변화관리 실행계획서 변화관리 실행계획의 적성정 검토
IT 구성도 IT 구성의 적정성 검토

설계단계

TASK산출물감리점검항목To-Be기준정보 설계개발 요구사항 작성사용자 교육변화관리이행결과 점검
To-Be 설계서 GAP 분석 및 To-Be 설계의 적정성 검토
기준정보 설계서 기준정보 설계의 적정성 검토
개발요청 List 추가 개발요건의 적정성 검토
사용자 교육 계획서 사용자 교육계획 수립의 적정성 검토
변화관리 진척도 분석서 변화관리 수행의 적정성 검토
변화관리 수행 보고서

구축단계

TASK산출물감리점검항목Prototyping기준정보구축Configuration프로그램 개발통합테스트Data 전환사용자 교육변화관리이행결과 점검
Prototyping 시나리오 프로토타이핑 계획 및 이행의 적정성 검토
Prototyping 결과 보고서
Key Data Element 정의서 모듈 조합의 적정성 검토
기준정보 정의서
Configuration 정의서
개발요청서
통합테스트 통합테스트 계획 수립 및 결과관리의 적정성 검토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통합테스트 결과 보고서
Data Migration 계획서/내역서 Data Migration 수행의 적정성 검토
Data Migration Issue List
사용자 교육 매뉴얼 사용자 교육 매뉴얼 작성의 적정성 검토
변화관리 진척도 분석서 변화관리 수행의 적정성 검토
변화관리 수행 보고서

이행단계

TASK산출물감리점검항목테스트사용자 정의사용자 교육시스템 관리 및운영절차 정의Cut Over 정리변화관리이행결과 점검
인수테스트 계획 및 시나리오 인수테스트 계획 및 결과 관리의 적정성 검토
시스템 테스트 결과관리의 적정성 검토
인수테스트 결과보고서
최종 시스템 테스트 결과 보고서
사용자 역할 정의서 사용자 권한 및 역할 정의 적정성 검토
사용자 매뉴얼 사용자 교육 및 매뉴얼 작성의 적정성 검토
시스템 운영 및 관리 절차서 시스템 운영 및 관리절차 수립의 적정성 검토
Cut-Over 계획서 Cut-Over 계획 및 Help Desk 운영계획 수립의 적정성 검토
Help Desk 운영 계획서
변화관리 진척 분석서 변화관리 수행의 적정성 검토
변화관리 수행 보고서

안정화단계

TASK산출물감리점검항목프로젝트 종료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주요 변경업무 및 개선내용 반영의 적정성 검토
인수인계의 적정성 검토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관리의 적정성 검토
보안정책 수립의 적정성 검토
반응형

'KOREA > 0.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 구축  (0) 2022.04.25
성공적인 Project를 위한 Method  (0) 2022.04.18
[기획] 메뉴 구조도  (0) 2021.12.07
[기획] 기획하면서 필요한 문서 - 2  (0) 2021.12.07
[기획] 기획하면서 필요한 단어 문서 -1  (0) 2021.1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