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

EAI는 기업내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들을 현대화하고, 통합하고, 조정하는 것을 목표로 세운 계획, 방법 및 도구 등을 일컫는 비즈니스 컴퓨팅 용어이다. 대체로,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사용해오는 기존의 응용프로그램들과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또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엑스트라넷 및 기타 다른 기술들을 이용하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으로 바꾸어나가는 동안, 기존의 것들을 계속해서 사용하기 원한다. EAI는 기업의 비즈니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새롭고 통합적인 시각을 개발하고, 기존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새로운 시각 내에 어떻게 맞추어지는지를 확인하고, 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추가하는 동안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효과적으로 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등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EAI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분산처리, CORBA나 COM+와 같은 메시지 브로커 등을 사용한 다중 플랫폼 프로그램 교신, 새로운 목표에 맞추기 위한 ERP의 수정,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기업내의 콘텐츠와 XML로 구현된 데이터 표준의 배포, 미들웨어, 메시지 큐잉, 그리고 기타의 접근방법 등과 같은 방법론들을 포함한다.

 

B2B (business-to-business; e-biz) ; 기업간 전자상거래

인터넷에서, 흔히 e-biz라고도 알려져 있는 B2B는 기업과 소비자간이 아닌, 기업과 기업간에 이루어지는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정보에 관한 거래를 말한다. 비록 초기의 관심은 인터넷상의 소매거래의 성장에 초점이 맞추어졌지만, B2B의 총수입은 멀지 않은 장래에 B2C의 총수입을 넘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2000년 초에 발간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B2B의 금액규모는 전자소매 거래 규모의 10배를 넘는다. 다가오는 5년 동안, B2B는 연간 복합 성장률 41%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트너 그룹은 전세계 B2B 총수입이 2004년까지 7조 29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2000년 초에, 현재로선 수익을 내고 있는 B2B 사이트를 찾기 힘듦에도 불구하고, 벤처 캐피탈에 의한 B2B 투자규모가 급격히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되었다

CMS (Conversational Monitor System)

CMS는 IBM의 VM/ESA 운영체계와 함께 따라 나오는 제품으로서, 많은 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마치 자신들 임의로 쓸 수 있는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가진 것처럼 보이도록 해준다. IBM의 MVS 운영체계만큼이나 오래된 VM/ESA (흔히 "VM"이라고 알려져 있다)와 CMS는 1964년에 IBM의 캠브리지 과학 센터에서 발명되었다

VM은 제어 프로그램이라고 불리는 운영체계 하부의 특별한 계층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컴퓨터의 실제 기계 작동을 조종한다. 그 제어 프로그램은 실제로는 가상 머신을 만듦으로써, MVS와 CMS와 같은 각 운영체계가 컴퓨터의 독점적인 책임 하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CMS는 한 단계 더 나가서, 각 CMS 사용자들이 마치 자신들 각각의 개인적인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해준다.

VM 시스템의 사용자들은 대체로 먼저 VM에 로그인 하고 나서, (i cms 라는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자신들만의 CMS를 기동시킨다. 그 후에, 그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과 통신하고, 메일 발송,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운영 등을 할 수 있으며, VM과 CMS가 발전하면서 개발되었던 각종 표준 애플리케이션과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다.

 

NFS (Network File System)

NFS는 컴퓨터 사용자가 원격지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마치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것처럼 검색하고, 마음대로 저장하거나 수정하도록 해주는 클라이언트/서버형 응용프로그램이다. 사용자 시스템에는 NFS 클라이언트가 있어야하며, 다른 컴퓨터 (원격지의 컴퓨터)에는 NFS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둘 모두 TCP/IP 프로토콜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보내거나 수정하는 프로그램으로 TCP/IP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기버전의 NFS에서는 TCP 대신에 UDP가 사용되기도 한다).

NFS는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파일서버의 표준으로 정착되었다. 이 프로토콜은 컴퓨터들간의 통신 방법으로서 RPC를 사용한다. 윈도우 95와 썬(Sun)의 Solstice Network Client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는 일부 운영체계에 NFS를 설치할 수 있다.

NFS를 이용하여, 사용자나 시스템관리자는 파일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된(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정된) 파일시스템은 각 사용자들의 권한에 따라 개개의 파일을 액세스할 수 있게된다.

NFS는 인터넷 기술이 가미된 WebNFS로 확장되었으며, 이 제품과 제시된 표준안은 현재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 브라우저의 일부이다. WebNFS는 썬마이크로시스템즈가 웹 페이지와 다른 인터넷 파일들을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믿고 있는 바로 그것을 제공한다.

 

 

 

MQ (Messaging & Queuing)

서로 다른 이기종간 통신 시 중간에 Queue라는 매개체를 두어 간접통신 하는 것

Queue란 임시로 Message(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Queue

큐는 사람들이나 물건들이 처리를 기다리며 서있는 줄을 말하는데, 줄의 맨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처리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의 큐는 데이터가 들어간 순서대로 제거되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순서를 가리켜 흔히, 선입선출(FIFO ; first in, first out)이라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스택이라는 자료구조는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나중에 제거되는 형식인데, 이것을 LIFO (last in, first out)라 한다.

 

WAN (wide area network) ; 광역 통신망

WAN이란 지리적으로 흩어져 있는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근거리통신망, 즉 LAN과 구별하여 보다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통신구조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보통 LAN의 범위는 1개의 빌딩이나 학교, 연구소 및 생산공장 등의 일정 구역내인 것에 반해, WAN은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웍를 지칭하는 것으로 지방과 지방, 국가와 국가, 또는 대륙과 대륙 등과 같이 지리적으로 완전하게 떨어져 있는 장거리 지역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통신망이다.

광역통신망은 사설망일 수도 있고 임차한 망도 될 수 있지만, 이 용어는 보통 공공망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LAN과 WAN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정도 크기의 네트웍은 특히 MAN이라고 부른다.

 

LAN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LAN[랜]이란 300m 이하의 통신회선으로 연결된 PC, 메인프레임, 워크스테이션 들의 집합을 말한다. LAN은 컴퓨터 사이의 전류나 전파신호가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거리, 즉 한 기관의 빌딩 내에 설치된 컴퓨터 장비들을 직원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고속의 통신망이다. 1970년대 말에서 1980년초 제록스사의 한 연구소에서 LAN에 관한 중요한 업적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소에서 이더넷(Ethernet ; 공기가 없는 진공상태의 공간에 전파가 흘러갈 수 있는 물질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지은 독일어 단어 "에테르"에서 따온 말)이라고 이름을 붙인 컴퓨터 연결방법이 처음으로 실용화되었다.

 

SAP (Systemanalyse und Programmentwicklung) 또는 (Systems, Applications and Products in Data Processing)

SAP은 1972년 독일 만하임에서 다섯 명의 전직 IBM 출신 엔지니어가 설립한 회사로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전세계 가장 큰 시장 점유율과 기술 선도적인 업체이다. SAP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통합된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오늘날 IBM 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같은 많은 기업들이 SAP 제품을 사용한다.

SAP의 최근 제품인 R/3는 재무, 인사, 제조, 영업, 물류/유통, 설비 및 공사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들이 자동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는 워크플로우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채용하였으며, 윈도우 NT부터 IBM 메인프레임에 이르는 대부분의 운영체계 플랫폼을 지원한다. R/3의 최근 버전은 인터넷을 지원하기도 한다.

현재 SAP은 산업별 솔루션, 비즈니스 웨어하우스(Business Warehouse), 고객관계관리(CRM)와 같은 특성화된 제품 개발과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업무협조를 통해 R/3를 공급하면서 고객을 위한 성공적이고 효율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서 리엔지니어링을 실현하고 있다.

1998년 5월 기준으로 SAP의 종업원 수는 전세계 50여 개국 15,000여 명이며 15,000개 이상의 사이트에 R/3가 설치되었다.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NMS는 시스템관리자나 시삽이 네트웍을 통제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NMS는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일련의 프로그램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옛날에는 필요한 세팅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웍 계층 또는 프로토콜을 지칭하기도 하였다. SNMP가 바로 이러한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네트웍 제어의 필요성은 보통 대형 네트웍에서 발생하는데, 조정이 필요한 개개의 PC나 콘솔에 관리자가 일일이 앉아서 작업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준다.

 

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 대화식 음성 응답

IVR은 음성전화 입력과 터치톤 전화기의 단추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것들의 조합을 받아들여서, 음성, 팩스, 콜백, 전자우편, 기타 매체의 형태로 적절한 응답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IVR은 대체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포함하는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이다. IVR 애플리케이션에는 보편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은행 및 주식 계좌 잔고 조회, 또는 이체 여론 조사를 포함한 각종 조사 콜센터의 통화 전달 단순한 주문입력 거래 선택적인 정보 조회 (영화 상영일정 등) IVR 애플리케이션은 적절한 상황, 키패드 신호 논리, 적절한 데이터에의 액세스 등을 위해 미리 녹음된 음성 응답과, 그리고 어쩌면 나중에 처리하기 위해 음성을 녹음하는 능력 등을 제공한다. IVR 애플리케이션들은 CTI를 사용하여, 송화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볼 수 있는 담당 직원에게 통화를 넘겨줄 수도 있다.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은 1996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제안한 것으로서, 웹 상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 가능하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이다. 이는 인터넷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HTML의 한계를 극복하고 SGML의 복잡함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HTML에 사용자가 새로운 태그(tag)를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이해하면 쉽다. 또한, XML은 SGML의 실용적인 기능만을 모은 부분집합 (subset)이라 할 수 있으며, 인터넷상에서 뿐만 아니라 전자 출판, 의학, 경영, 법률, 판매 자동화, 디지털도서관, 전자상거래 등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될 전망이다.

XML은 월드와이드웹, 인트라넷 등에서 데이터와 포맷 두가지 모두를 공유하려고 할때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W3C의 의장인 Jon Bosak은 XML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향후 XML은 웹 기술상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진보를 가져 올 것이며, 웹의 근본을 송두리째 바꿀 것이다. XML은 안전한 전자상거래 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분산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시대를 이끌어 나갈 것이다. 또한 XML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고객의 관계를 새롭게 변화시킬 것이다. 다시 말해서 XML은 어떤 플랫폼에서나 읽을 수 있는 포맷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정 회사의 제품과 관련된 특정 환경에 얽매이지 않아도 된다"

XML은 현재 W3C로부터 웹을 좀더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로서 공식 추천되고 있다.

 

EBS(Enclean Bonus System)

주유소는 점포단위로 세차권, 비스켓, 1회용타올, 생수 등의 판촉상품을 매번 주유하는 고객에게 제공하였으며, 이것이 발전하여 주유소 단위로 누적된 주유량에 따라 판촉물을 제공하는 주유소 전용카드가 도입되었다. 주요소별 비체계적 고객관리와 판촉활동을 개선하기 위해 SK주식회사는 SK주유소에서 주유하는 전고객을 관리할 수 있는 엔크린카드를 도입하여 각 주유소의 촉진활동을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E-HR

인력관리 업무 수행 주체인 사원, 현업 팀장, 인력관리 부서원들에게 회사 내/외부의 HR관련 DATA, 정보, tool, 서비스 등을 통합하여 제공하고, 인력관리 업무 수행 주체간 쌍방향 의사 소통을 지원하는 시스템

 

CMIS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

네트웍 객체나 장치들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그들을 제어하고, 또 상태 보고서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를 정의한다.

 

 

Interface

명사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는 다음 중 하나를 의미한다.

ㆍ다이얼이나, 조이스틱,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운영체계의 명령어, 그래픽 표현형식 기타 다른장치들과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나 프로그램과 의사소통을 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ㆍ사용자에게 그림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UI는 보통 인간 환경공학적으로 보다 만족스럽고, 사용자 편의를 더 강조한 인터페이스이다.

ㆍ일련의 명령어나 함수, 옵션, 그리고 프로그램 언어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어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로 구성되는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ㆍ어떤 장치를 커넥터나 다른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설비

동사로서 사용될 때, 인터페이스 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나 객체와 의사소통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하드웨어 장비에 있어 인터페이스 한다는 것은, 두 장비가 효과적으로 교신하거나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적절한 물리적인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cess

프로세스는 컴퓨터 내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이다. 이 용어는 몇몇 운영체계에서 사용되는, "태스크"라는 용어와 의미상으로 가깝다. 유닉스나 몇몇 다른 운영체계에서는,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프로세스도 시작된다. 태스크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스는 그 프로세스가 추적 관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특정한 데이터 셋이 관련되어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여러 명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각 사용자들의 실행단계에서 하나의 프로세스를 갖는다.

프로세스는 자프로세스라고도 불리는 서브프로세스를 시작시킬 수 있다. 자프로세스는 부프로세스의 복제로서 부프로세스의 자원을 일부 공유하는데, 부프로세스가 종료되면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다.

프로세스들은 몇 가지 IPC 방식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거나 그들의 연산을 동기화할 수 있다.

Firmware

펌웨어는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내에 삽입되어, 영구적으로 컴퓨터 장치의 일부가 되는 프로그램이다. 펌웨어는 여느 소프트웨어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지며, 마이크로코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테스트된다. 준비가 되면, 다른 소프트웨어처럼 배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이용하여 PROM 내에 설치할 수 있다. 펌웨어는 때로 프린터나 모뎀 그리고 다른 컴퓨터 장치들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배포되기도 한다. IBM에서는 펌웨어라는 용어 대신에 마이크로코드라는 용어를 즐겨 사용한다.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UPS는 주 전원이 상실되었을 때 짧은 시간동안만이라도 컴퓨터가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갑작스런 전압 상승 등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UPS는 주전원의 상실이 감지되면 순간적으로 축전지 전원 공급장치로 절체된다. UPS가 주 전원이 상실되었음을 알렸을 때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는, 2차 전원(축전지)이 모두 소진되기 전에 작업하던 데이터를 저장하고 컴퓨터를 안전하게 끌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모든 전원이 상실되면,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RAM)에 있던 데이터는 지워진다. 갑작스런 전압상승이 발생하면, UPS가 급증하는 전력을 도중에서 가로챔으로써 컴퓨터가 손상되는 것을 막는다.

UPS가 동작하게 되면(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하면), 작업 중인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해주는 소프트웨어도 있다

 

Module

일반적으로 컴퓨터 분야에서의 모듈이라는 용어는, 독립되어 있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단위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그렇지만, 원래 이 용어는 건축학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는, 특히 PL/1과 같이 오래된 언어에서, 원시언어로 작성된 문장들로부터 컴파일러의 출력물을 구분해 지칭하기 위해 오브젝트 모듈이라는 용어를 썼다. IBM의 OS/360과 같은 메인프레임 시스템에서 오브젝트 모듈은 하나의 로드 모듈 (load module)을 이루기 위해 다른 오브젝트 모듈들과 함께 연결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로드 모듈이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코드를 말한다. 모듈러 프로그래밍이란, 비슷한 기능을 갖는 코드들은 같은 단위 프로그램 코드 내에 함께 포함시켜야 하며, 다른 기능들은 별도의 독립적인 단위 코드로 개발됨으로써, 유지보수와 타 프로그램들에서 쉽게 이 코드들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해야한다는 개념이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본래부터 모듈러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이다.

소프트웨어에서 모듈이란 한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다. 프로그램들은 하나이상의 독립적으로 개발된 모듈로 구성되며, 이들은 그 프로그램이 링크되기 이전까지는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모듈은 하나 이상의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나 전자공학에서 말하는 모듈이란, 커다란 장치나 배열 내에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부품으로서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교체되고,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성요소를 말한다. 예를 들어, SIMM은 여러개의 메모리 칩들을 하나의 작은 보드에 서로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별도로 구입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램을 말하는데, 이를 메모리 모듈이라고 부른다.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는 PC와 디스크드라이브, 테이프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주변장치를, 이전의 인터페이스보다 더 빠르고 더 유연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로서, ANSI 표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애플 컴퓨터에서 개발되었고, 아직도 매킨토시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의 SCSI 세트들은 병렬 인터페이스이다. SCSI 포트는 오늘날 대부분의 PC에 장착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주요운영체계에 의해 지원된다.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 외에, SCSI는 이전의 병렬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보다 더 융통성이 있다. 최근의 SCSI 표준인 16 비트 버스용 울트라-2 SCSI는 데이터를 최고 80 Mbps 속도까지 전송할 수 있다. SCSI는 버스의 폭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하나의 SCSI 포트에 7~15개의 주변장치를 줄줄이 이어서 접속시킬 수 있다. 이 방식은 모든 주변장치들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장치에 별도의 카드를 갖는 대신에 하나의 회로기판이나 카드로 충분하기 때문에,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의 이상적인 인터페이스로 여겨지고 있다. PC 카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하나의 호스트 어댑터는 한 대의 랩톱 컴퓨터를 위한 SCSI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다른 장치들이 사용되는 중에도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는 병렬 포트와 외장 모뎀이 달린직렬 포트의 사용을 자유롭게 한다.

비록 주변 장치들은 모든 등급의 SCSI를 지원하지 못하지만, SCSI 표준은 일반적으로 이전의 인터페이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말하자면, 구형장치를 최신의 표준을 지원하는 신형 컴퓨터에 장착했을때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그런대로 잘 동작할 것이라는 얘기이다.

지금 SCSI-1으로 불리고 있는 원래의 SCSI는, 현재 광범위하게 지원되고 있는 SCSI-2로 진화했다. SCSI-3는 일련의 기본 명령어들과, 특정 장치 형태의 요구에 맞춘 부가적이고 특화된 명령어셋으로 구성된다. SCSI-3명령어셋의 모음은 SCSI-3 병렬 인터페이스 뿐 아니라, 추가적인 병렬 및 직렬 프로토콜들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광범위하게 적용된 SCSI 표준은, 최고 전송속도 80 Mbps를 내기 위해 40 MHz 클록속도를 사용하는 울트라-2이다. 이것은 저압 차동 신호, 즉 LVDS를 사용함으로써 케이블 거리를 최장 12 m까지 늘릴 수 있게 한다.

SCSI의 초기형태는 끝에 접지로 종말 처리한 단일 케이블을 사용했다. 울트라-2 SCSI는 두 개의 케이블 사이에서 다른 전압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두 개의 케이블 상에 신호를 보내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더 긴 케이블을 지원할 수 있게 한다. 저압차동은 전력소모와 제조원가를 낮춘다.

최근의 SCSI 표준은 클록속도와 함께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최고 속도를 80 Mbps에서 160 Mbps로 증가시킨 울트라-3 이다. 이 표준은 때로 울트라160/m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울트라160/m을 지원하는 신형 디스크드라이브는 더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할 것이다. 울트라160/m은 또한 전송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CRC와 SCSI 네트웍을 테스트하기 위한 도메인 검증 기능을 포함한다.

 

NIS and NIS+ (Network Information System)

NIS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된 소규모 네트웍용 네트웍 명명 및 관리 시스템이다. NIS+는 보안 및 편의 기능들을 추가한 그 후의 버전이다. NIS를 사용하면, 시스템 내의 각 호스트 클라이언트들이나 서버 컴퓨터가 전체 시스템을 인식한다. 어떤 호스트에 있는 사용자라도, 한 개의 사용자ID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네트웍 상의 어떠한 호스트 상에 있는 파일들이나 프로그램들에도 접근할 수 있다 NIS는 인터넷의 DNS와 비슷하지만, 그보다는 다소 간단하고, 소규모 네트웍에 알맞게 설계되었다. 이 시스템은 근거리통신망 상에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NIS는 호스트들 간의 통신을 위해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 원격절차호출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NIS는 하나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그리고 약간의 관리도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NIS는 종종 NFS와 함께 사용된다. NIS는 유닉스 기반의 프로그램이다.

비록 썬과 다른 회사들이 독점 버전을 공급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NIS 코드는 공개되어 있으며, 프리웨어 버전들도 찾아볼 수 있다. NIS는 원래 "옐로우페이지"라고 불렸었지만, 그러나 누군가가 이미 그 이름에 관해 상표로 등록한 상태였기 때문에, NIS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그렇지만 아직도 가끔 옐로우페이지의 약어인 "YP"로 불리기도 한다.

썬은 자사의 워크스테이션 네트웍은 물론, 윈도우 PC 네트웍을 위한 솔루션으로 NFS 제품과 함께 NIS+를 제공한다

 

 

Archive

아카이브는 백업 또는 다른 장소로의 이동시키는 등의 목적을 위해 컴퓨터 파일들을 뭉쳐놓은 모음을 말한다.

아카이브는 단순히 파일들의 목록만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디렉토리나 구조일람표 밑에 밑에다가 파일들을 조직화할 수도 있다. PC의 윈도우 운영체계에서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또는 아카이브를 푸는데 있어 윈집은 유명한 프로그램이다. 윈집은 아카이브된 파일들을 압축할 수도 있지만, 아카이브를 만드는데 항상 압축을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윈집 아카이브는 파일이름 확장자가 ".zip"으로 끝난다.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계에서는,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푸는데 tar 유틸리티가 사용된다. IBM의 MVS나 OS/390등과 같은 메인프레임 운영체계에서는,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파일을 백업하는 절차들이 흔히 일상적인 운영절차로서 자동화되어 있다.

도서관과 마찬가지로 웹사이트 상에서도 아카이브는, 흔히 일람표나 목록표 등을 통해 어떻게든 해서 액세스할 수 있도록 만드는 개별 발간물들의 모음을 지칭한다. 웹사이트에 게재된 잡지나 저널 그리고 신문 등의 내용 중에서 지난 기사들을 아카이브라고 말하기도 한다.어 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웹이나 FTP 사이트에서 "아카이브"라는 것은 다운로드 가능한 파일들의 목록을 지칭하기도 한다.

 

 

I-Node (Identification Node)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계에서, 각 파일은 만들어질 때 운영체계에 의해 고유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 번호를 i-node[아이노드] 번호라고 부른다. 이것은 장비에 붙어있는 일련번호와 다소 비슷하다. 운영체계는 파일을 이름이 아닌 i-node 번호로 인식한다. 파일이 이름으로 요구되면, 적절한 디렉토리 내에서 i-node 번호를 찾은 다음, 그 파일을 참조할 때 i-node 번호가 사용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같은 파일을 참조하는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엔트리를 링크라고 부른다.

i-node가 하나 이상의 링크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파일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은 그 파일에 연결된 모든 링크가 제거될 때까지 계속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만약 사용 가능한 저장공간을 늘이기 위해 하나의 파일을 지웠는데도 가용한 저장공간이 늘지 않았다면, 어딘가에 같은 파일을 가리키고 있는 하나 이상의 링크가 있다는 얘기가 된다.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계에서 파일의 i-node 번호를 보려면, "ls -i"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는 때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데, 다수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데이터 베이스 안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DBMS는 사용자 요구사항들이나 다른 프로그램의 요구사항들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들이나 다른 프로그램들이 실제로 그 데이터가 저장매체의 어느 곳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이해하지 않고서도, 다중 사용자환경의 그 누구라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 요구사항들을 처리함에 있어, DBMS는 데이터의 무결성 (이것은 데이터베이스가 계속해서 접근이 가능하며, 또한 의도한대로 조직화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것이다)과 오직 허가된 사용자들만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하는 보안성을 보장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DBMS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즉 RDBMS 이다. RDBMS의 표준화된 사용자 및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SQL이라고 부른다.

좀더 새로운 종류의 DBMS로 OODBMS가 있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관리자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DBMS는 보통 데이터베이스 제품의 고유 부분이다. PC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가 단일사용자 및 소규모 사용자용 DBMS의 대표적인 예이며, SQL Server는 다중 사용자들의 데이터베이스 요구를 지원하는 DBMS의 한 예이다. 다른 유명한 DBMS들로는 IBM의 DB2, 인포믹스, 오라클 등의 DBMS 제품군 들이 있다.

IBM의 IM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는 초창기 DBMS들 중의 하나이다. DBMS는 IBM의 CICS와 같은 트랜잭션 관리자들과 함께 사용되거나 결합되기도 한다

CICS (Customer Information Control System)

CICS는 IBM이 개발, 공급하는 전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OLTP (On Line Transaction Processing) 제품이다. 호스트, 각종 유닉스 및 윈도우NT까지 모두 지원하는 다양한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버 버전 및 클라이언트 버전으로 구성된다. 즉, CICS/ESA, CICS/VSE, CICS/400, CICS/6000, CICS/OS2, CICS/윈도우NT, CICS/DEC, CICS/HP, CICS/Siemens Nixdorf SINIX, CICS/SUN 등 거의 모든 플랫폼을 지원한다.

Cluster

PC의 저장기술 측면에서의 클러스터는 하드디스크 위에 파일을 저장하는 논리적 단위이며, 컴퓨터의 운영체계에 의해 관리된다.

파일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차지하게 되며, 아주 커다란 파일인 경우 여러 개의 클러스터에 걸쳐 저장되는 수도 있다. 그러나, 비록 하나의 파일이 여러개의 클러스터에 나뉘어 있다고 해도, 이 클러스터들이 항상 연속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하드디스크의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 하나의 파일에 연관된 여러 개의 클러스터들의 위치는 하드디스크의 파일 배치표(FAT ; file allocation table)에 관리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파일이 어떤 클러스터에 저장되어 있는지, 혹은 나뉘어 저장되어 있는지 아닌지 등에 대해 전혀 알 필요가 없으며, 그저 원하는 파일을 읽고자하면 파일 내용 전체가 읽혀진다.

클러스터는 하드디스크 그 자체에 만들어지는 물리적인 단위가 아닌 논리적인 단위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클러스터의 크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클러스터의 크기가 커지면서 지불해야할 대가가 있다면, 그것은 크기가 적은 파일들 (예를 들어 디렉토리와 같은 것들) 조차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모두 차지해 버려 낭비적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클러스터 한개의 크기를 2,048 바이트로 설정한 경우라면, 10 바이트 짜리 파일조차도 2,048 바이트를 소모하게 되는 것이다(실제로 많은 운영체계에서 클러스터의 기본 크기를 4,096 바이트나 8,192 바이트로 설정하고 있다). 어떤 하드디스크 내에 존재할 수 있는 클러스터의 최대 개수는 FAT 엔트리의 크기에 좌우된다. 도스 4.0 에 처음 도입된 FAT라는 개념에서 FAT 엔트리는 16 비트 길이였으므로, 최대 65,536개의 클러스터를 관리할 수 있었다(2의 16승이 바로 65,536 이다). 윈도우95 OSR2부터는 32 비트 길이의 FAT 엔트리가 지원되므로, 총 2 테라바이트 크기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기에 충분한 클러스터 주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윈도우95 OSR2 에서 FAT32를 지원하기 전에는, 하나의 파티션에서 지원할 수 있는 가장 큰 하드디스크가 512 MB에 지나지 않았다(FAT 엔트리의 크기가 16 비트 이므로, 지정할 수 있는 주소의 개수가 최고 65,536개 이고 가장 크게 설정할 수 있는 클러스터의 크기가 8,192 바이트이므로, 65,536 × 8,192 = 536,870,912 bytes, 즉 514 MB 크기만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보다 더 큰 하드디스크에 대해서는 최고 4개까지 파티션을 나누고, 각 파티션마다 512 MB의 크기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는 각각의 FAT를 두어 이용해야만 했다.

SNA (Systems Network Architecture)

SNA는 기업 내의 네트웍 컴퓨팅을 구현하기 위해 1974년에 소개된 IBM의 메인프레임 네트웍 표준이다.

원래는 많은 수의 단말기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용 중앙집중식 아키텍처였으나, APPN이나 APPC와 같은 기능향상이 이루어짐으로써, 현재는 peer-to-peer 통신과 분산 컴퓨팅 환경에 알맞게 변화되었다. 이것은 IBM의 SAA (Systems Application Architecture) 이전부터 있었다가 SAA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IBM의 OpenBlueprint의 일부이다. 여러 기업이 함께 네트웍 컴퓨팅을 하게되는 인터넷과, 사실상의 개방형 네트웍 아키텍처인 TCP/IP의 탄생과 함께, IBM은 대형 네트웍상의 업무를 위해 TCP/IP를 사용하는 기업 내에 자사의 SNA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었다.

SNA 그 자체는 여러 가지 기능적 계층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VTAM이라고 불리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와 제어정보와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링크 계층의 교환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인 SDLC를 포함한다. SNA는 어느 정도의 셋업기능을 제공하는 물리적인 유니트와, 특정한 네트웍 트랜잭션과 관련되는 논리적 유니트를 모두 담고 있는 노드의 개념들을 포함한다.

RAS (remote access server) ; 원격접속서버

원격접속이란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컴퓨터나 네트웍에 액세스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기업에서는,

지사에 있는 사람들이나 재택근무하는 사람들, 그리고 출장중인 사람들 등이 회사의 네트웍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가정의 사용자들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의 원격접속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및 포켓형 컴퓨터의 모뎀과 전화회선을 통해 다이얼업 접속을 하는 것이 원격접속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원격접속은 또한 컴퓨터와 원격지 근거리 통신망 그리고 중앙이나 회사의 주 근거리통신망 등 사이에 전용회선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용회선은 값이 더 비싸고 융통성이 떨어지지만,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ISDN은 다이얼업과 빠른 데이터전송을 결합하였기 때문에, 지사에서 원격접속을 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무선, 케이블모뎀, 그리고 DSL 기술들은 원격접속에 관한 또다른 가능성을 제공한다.

RAS는 원격지에서 네트웍에 접속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을 관리하도록 설정된 컴퓨터와 관련 소프트웨어이다.

때로, 통신서버라고도 불리는 원격접속서버는, 보통 보안문제를 보장하기 위한 방화벽서버와, 원격접속요구를 회사 네트웍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라우터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연계된다.

원격접속서버는 모뎀 집합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함께 연동됨으로써 단속적으로 접속하는 많은 수의 원격접속 사용자들이 적은 수의 모뎀들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Console

콘솔이란 대개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키보드(또는 입력이 가능한 다른 장치)가 조합된 장치를 말한다. 콘솔을 다른 말로는 터미널이라고 부른다. 콘솔이라는 용어는 마이크로컴퓨터나 메인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어, 시스템의 상황을 모니터하는데 사용되는 터미널을 의미한다.

콘솔이란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부르는 다른 말이다.

대개 컴퓨터의 상태를 지시하는 기록계나 점등장치가 한 줄로 늘어서 있고, 오퍼레이터가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달린 장치를 말한다.

Mass storage [대용량 기억 장치]

컴퓨터에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반영구적인 기억 장치. 일반적으로 자기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자기 테이프와 자기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광 디스크 장치가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다.

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경영정보시스템

MIS란 기업 경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하는데, 때로는 이러한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람들을 지칭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대기업에서 말하는 "MIS" 또는 "MIS 부서"란 본사(또는 본사에서 조정된)의 전문적인 컴퓨터 기술 및 관리 시스템을 말하는데, 종종 메인프레임 컴퓨터뿐 아니라 기업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전사적인 네트웍까지 확장된 개념을 포함한다.

초창기에 기업의 컴퓨터들은 단순히 종업원들의 임금을 계산하거나 회계장부를 관리하는데 사용되곤 했지만 판매, 재고 그리고 기업 경영에 도움을 주는 여러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업무 프로그램들이 개발되면서부터, MIS라는 용어는 이러한 여러 종류의 업무 프로그램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발전되었다.

오늘날 이 용어는 여러 상황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때로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인적자원 관리시스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검색시스템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MIS를 경영활동 유형별로 크게 거래처리시스템, (좁은 의미의) 경영정보시스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등의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때, 거래처리시스템은 재고의 수납, 판매, 구매 혹은 지불과 같은 기업의 거래 활동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 처리, 관리하는데 이용되며 (좁은의미의) MIS는 거래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관리자들에게 요약보고서로 분석하고 제출함으로써 경영자로 하여금 중요한 사항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SS)은 경영자가 특별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할 때 별도의 정보를 제공 하는 역할을 한다

LBA (logical block addressing) ; 논리적 블록주소 지정

LBA는 크기가 528 MB가 넘는 하드디스크에 주소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테크닉이다. 논리적 블록 주소는 디스크 상의 특정한 CHS(실린더-헤드-섹터) 방식의 주소에 대응되는 28 비트의 값이다. 28 비트는 하드디스크상의 데이터 저장공간의 크기가 8.4 GB 까지는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를 허용한다. 논리적 블록

주소 지정은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인 EIDE 방식의 특성 중 하나이다.

 

 

LUN (logical unit number) ; 논리적 단위장치 번호

여기서 설명하려는 논리적 단위장치, 즉 logical unit는 IBM의 SNA에서 나오는 logical unit와 다르다

LUN은 SCSI 버스에서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로서, 최대 8대까지의 독립적인 장치들이 서로를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각각의 독립된 장치들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장치 이다). 각 LUN은 특정한 논리적 단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번호로서, 이들은 최종사용자, 파일 또는 응용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SCSI는 병렬 인터페이스로서 최대 8개까지의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모든 장치는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고 그 케이블과 호스트 어댑터는 SCSI 버스를 구성한다. SCSI 버스는 호스트와는 독립적으로 장치들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SCSI 프로그램 내에서, 각 장치에는 8 비트 버스를 위해서는 0~7 사이, 그리고 16 비트 버스를 위해서는 8~16 사이의 고유한 번호가 할당된다. 입출력 연산을 요청하는 각 장치들은 작업요청자가 되며, 그러한 연산을 수행하는 각 장치들은 대상이 된다. 각 대상은 자신의 컨트롤러를 통해최대 8개까지의 추가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며, 이러한 장치들은 바로 논리적 단위 장치들이다

명령어를 처리하는 SCSI 컨트롤러에 각 장치에 식별시키기 위해 고유 번호가 할당된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는 웹이 탄생한 이래, 주로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일반적인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처리를 위해 다양한 언어로 개발된 인터넷/인트라넷 환경의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 자바스크립트나 JSP 등과 같은 스크립트 및 서비스들은 대개 최신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브라우저 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WAS를 비롯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은, 웹서버 즉 HTTP 서버와 같은 컴퓨터를 공유할 수도 있지만, 별개의 컴퓨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대규모 사이트에서는, 오히려 WAS와 웹서버 등을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원되기도 한다. 넷스케이프의 Netscape Application Server, BEA의 Weblogic Enterprise, 볼랜드의 AppServer, 그리고 IBM의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등이 WAS의 대표적인 제품들이다.

Query

쿼리란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쿼리를 하는데 에는 일반적으로 3가지 방법이 있다. 메뉴에서 매개변수를 선택: 이 방법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매개변수 목록을 제시한다. 이것은 메뉴가 사용자를 이끌어주므로 아마 쿼리를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겠지만, 또 가장 유연하지 못한 방법 중 하나이다.

예제에 의한 쿼리 (QBE) : 이 방법에서, 시스템은 비어있는 레코드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쿼리를 정의하기 위해 필드 값을 채워 넣도록 한다.

쿼리 언어의 사용: 많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특별한 쿼리 언어로 쓰여진 정형화된 쿼리 문장의 형태로 정보를 요청하도록 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특수한 언어를 배워야하므로 가장 복잡한 방법이지만, 가장 강력한 방법이기도 하다.

쿼리는 웹 서버에 특정한 정보를 보여달라는 웹 클라이언트 요청(주로 문자열을 기반으로 한 요청이다)에 의한 처리이다. 쿼리는 대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한 주제어나 어귀를 찾기 위해 사용된다. 주제어가 검색엔진의 검색필드 내에 입력된 다음, 그 내용이 웹 서버로 넘겨진다.

Fibre Channel

파이버 채널은 컴퓨터 장치들 간에 최고 1 G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이다 (4 Gbps의 전송 속도는 현재 제안되어 있는 상태이다). 파이버 채널은 특히 컴퓨터 서버를 공유 저장장치에 연결하거나, 저장 콘트롤러와 드라이브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파이버 채널은 서버와 클러스터 저장장치 들간의 전송 인터페이스보다 3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SCSI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또한 장치들간에 서로 10 km 정도 떨어져 있어도 될 만치 더욱 유연하다. 거리가 더 멀어지면 물리적인 전송 매체로서 광섬유가 필요하다. 그러나, 파이버 채널은 동축케이블과 일반 전화용 연선을 사용해도 동작한다.

파이버 채널은 점대점 접속, 스위치와 루프 인터페이스, 그리고 SCSI와의 연동, IP 및 기타 여러 가지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제작회사들과 초창기 고객들은 파이버 채널을 RAID를 포함한 공동의 저장장치를 가지고 있는 여러 대의 서버를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파이버 채널 저장장치, 스위치, 허브, 및 서브시스템을 제공하거나 제공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공급회사들에는 컴팩, 데이터제너럴, 델, EMC, IBM, Storage Technologies, StorageTek, 그리고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등이 포함된다.

파이버 채널은 일련의 표준에 명기되어 있으나, ANSI X3.230-1994 및 ISO 14165-1의 Fibre Channel Physical and Signalling 표준에 주로 정의되어 있다.

bridge

통신 네트웍에서, 브리지는 하나의 랜을 이더넷이나 토큰링과 같이 서로 같은 프로토콜을 쓰고 있는 다른 랜과 연결시켜주는 제품을 말하며, 각 랜에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션들은 프로토콜을 바꾸지 않고서도 랜이 확장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브리지를, 당신이 누군가에게 보낸 메시지에 대해 같은 건물 내에 있는 랜으로 보내야할지, 혹은 길 건너 다른 빌딩 내의 랜으로 보내야할지를 판단하는 장치라고 생각해도 좋다. 브리지는 랜 상의 각 메시지들을 조사한 다음, 같은 랜으로 보내야할 메시지는 받아들이고, 연결되어 있는 다른 랜으로 보내야 할 것들은 넘겨주는 식으로 동작한다.

브리지로 연결된 네트웍들에서 컴퓨터나 노드 주소들은 실제 위치와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메시지들은 네트웍 상의 모든 주소로 보내지지만, 그 메시지들은 오직 목적지 노드에 의해서만 받아들여진다.

브리지는 어떤 주소들이 어떤 네트웍에 있는지를 미리 파악하고, 메시지들을 정확히 다른 네트웍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미리 표를 작성해 놓는다.

브리지로 연결된 네트웍들은 일반적으로 항상 랜에 상호 연결되어 있고, 모든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때문에 대형 네트웍인 경우 불필요한 네트웍 트래픽들이 쇄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과 같은 라우팅 네트웍은 각 노드에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메시지나 패킷들이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는 대신에 한 방향으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브리지는 네트웍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통신 선로를 따라 한 네트웍에서 그 다음 네트웍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복사하는 일을 한다.

브리지에 라우터 기능이 결합되어 하나의 제품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브라우터라고 부른다.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은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를 다른 관점으로 쉽게, 또한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분석될 데이터로서 9월 중 같은 제품과의 매출액을 비교하기 위해 7월중에 플로리다주에서 팔린 모든 회사의 비치볼 제품 판매량을 보여주는 스프레드시트를 요청함으로써, 같은 시기동안에 플로리다주에서 팔린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분석을 쉽게 하기 위해 OLAP 데이터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2차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반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란 각 데이터 속성(제품, 매출지역, 기간 등과 같은)이 각기 별개의 차원으로서 간주되는 것이다. OLAP 소프트웨어는 차원들 간의 교점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표시할 수 있다. "기간" 등과 같은 속성들은 세부속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OLAP은 데이터 마이닝, 또는 이전에는 판별하지 못했던 데이터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찾아내는 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OLAP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웨어하우스 만큼 클 필요는 없는데, 왜냐하면 추이분석을 위해서 모든 트랜잭션 데이터가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ODBC를 사용하면, OLAP을 위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OLAP 제품을 선도하고 있는 제품으로는 Arbor Software의 Essbase와 오라클의 Express Server가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다중사용자 환경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사용자 수에 따라 사용자 1인당 최소 $2,500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CTI (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 컴퓨터 전화 통합

CTI는 줄여서 "computer telephony"라고도 부르는데, 컴퓨터를 사용해 전화 통화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용어는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를 직접 사내의 관련 부서로 연결하는 것과 같은, 전산화된 교환 서비스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또한 때로는 전화통화를 개시하고 관리하는데, 자신의 PC를 사용하기 위한 능력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어떤 경우에는 자신의 PC가 개인용 전화 교환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CTI 애플리케이션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의 능력을 제공한다.

ㆍ송화자 인증. 여러 개의 표준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송화자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가려낼 수 있다.

ㆍ인증이나 메시지 전달을 위한 음성인식

ㆍ생생한 육성, 녹음된 음성 또는 입력된 터치톤 등을 이용하여, 통화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결정 (예를 들면, 그것을 적절한 사람이나 부서로 연결하는 등)

ㆍ송화자에게 대화식 음성 응답을 제공

ㆍ송화자의 전화 번호를 고객기록과 대조한 뒤, 전화 응대하는 직원에게 그것을 참고자료로 제공

ㆍ음성 또는 화상회의의 관리 대기중인 통화 또는 송화자가 남긴 메시지들을 수집하여 보여 줌

ㆍ팩스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그것을 적절한 팩시밀리로 자동 연결시킴

ㆍ텔레마케팅과 같은 외부 통화를 위한 자동 다이얼링

ㆍ걸려오는 전화에 기초하여, 손님의 요청에 도움을 주기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개시

AI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는 CTI 서비스를 전화 교환과 분리시키는 전화서비스 아키텍처로서, 새로운 서비스를 보다 쉽게 추가할 수 있다. 윈도우 TAPI와 노벨의 TSAPI는 PC나 근거리통신망에서 전화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 전자 자료 교환

EDI는 기업 간의 거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포맷이다. 미국의 데이터교환표준협회에 의해 처음 개발된 EDI 표준은 ANSI X12에 정의되어 있으며, 세계표준인 EDIFACT에 밀접하게 대등하거나 또는 통합되어 가고 있다.

EDI 메시지에는 데이터 요소들의 문자열이 포함되는데, 그 각각은 가격이나 제품 모델번호 등과 같이 개별적 사실들 을 표현하며, 구획문자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전체의 문자열을 데이터 세그먼트라고 부르는데, 헤더와 트레일러에 의해 틀이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세그먼트들은 EDI 전송 단위(하나의 메시지와 같은 의미이다)인 트랜잭션 세트를 이룬다. 하나의 트랜잭션 세트는 흔히 전형적인 한 장의 무역서류나 양식 내에 포함되어 있을 법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EDI 전송에 관련된 쌍방을 흔히 트레이딩 파트너라고 부른다.

EDI 메시지들은 암호화되거나 해독될 수 있다. EDI는 e-mail, 팩스와 함께 전자상거래의 한 형태이다

IPL (initial program load) ; 초기 프로그램 적재

IPL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운영체계를 적재하기 위해, 주로 메인프레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OS/390과 같은 메인프레임 운영체계는 설치할 때 마다 고유하게 만들어진 수 MB 크기의 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 코드를 메모리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PC에서, 부팅 또는 재부팅이 바로 IPL과 동등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초기의 운영체계에서는, 하드웨어 시스템에 주변 장치들을 추가하면, 컴퓨터의 구성 파일을 변경하고 난 뒤, 다시 IPL을 수행하는 절차가 필요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시스템은 구성 파일을 동적으로 수정함으로써, 시스템 가동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gateway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웍으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웍 포인트이다. 라우팅의 관점에서 보면, 인터넷은 많은 게이트웨이 노드들과 호스트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웍이라 할 수 있는데, 네트웍 사용자들의 컴퓨터들과 웹페이지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들이 바로 호스트 노드들이며, 일반 회사의 네트웍 내에서 트래픽을 통제하는 컴퓨터들이나, 인터넷 서비스제공자들의 컴퓨터가 바로 게이트웨이 노드들이다.

한 회사의 네트웍에서는 게이트웨이 노드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프럭시 서버나 방화벽 서버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게이트웨이는 라우터나 스위치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MQSI (MQSeries Integrator)

MQSI은 애플리케이션 통합을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강력한 정보 중개자로 1:N 연결성 모델과 변형, 여러 개별 비즈니스 시스템을 통한 지능 라우팅 및 정보 플로우 모델링을 포함합니다. 고객은 필요로 하는 시간과 장소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어디서든 모든 형식의 회사 데이터를 액세스가 가능하고, 비즈니스 지식만 사용하여 업무를 개편할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회사 정보 네트워크로 통합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