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ython언어 과제물 A

 

 과제물 작성시 주의 사항

l  과제물 제출 시 완성된 소스파일을 반드시 이름.ZIP’ 형식으로 압축하여 첨부합니다.

l  답안은 반드시 문제에서 지시 또는 요구한 조건에 맞추어 작성합니다. 결과가 올바르더라도 과정이 옳지 않으면 부분적으로 감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l  제출한 파일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 제출한 과제물은 0점 처리 됩니다.

 

 


 

[문제 1] 클래스를 만들어 실행 했을 경우 출력 결과와 같이 수행하도록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1.  구현 클래스 다이아 그램

myObj class[클래스 이름]

set_value(self,item)

get_value()

M_calc(self)

 

2.  구현 클래스

파일명

클래스

method

설명

A_Exam01.py

myobj

set_value(self,item)

메소드의 item 매개인자로 숫자를 받아 멤버 변수에게 대입한다

get_value(self)

멤버변수인 item 가진 값을 리턴 한다.

M_calc(self)

멤버변수가 가진 값에 10 더한다.

* 클래스 명과 method 명은 변경하지 않는다.

 * 위에 선언한 클래스 변수와 클래스 함수만을 이용한다.

 

3.   myObj 클래스 구조를 보고 _______ 채워 코드를 완성하시오

# -*- coding:utf-8 -*-

class myObj ( object ) :

   

    def set_value ( self , item ) :

        self . item = item

   

    (1)_________________________

   

    def M_calc ( self ) :

        (2)________________

 

 

if __name__ == '__main__':       

    result =  []

    obj =(3) __________

    obj . (4)___________

    result . append ( obj )

       

    (5)________________

    obj01 .(6)____________

    result . append ( obj01 )

       

    list(map ( lambda item : item.M_calc(),result ))

    for m_obj in result :

print ( m_obj . get_value ())

[실행결과]

110

210

 

(1)     클래스의 멤버변수 item 리턴 하는 get_value() 작성한다

(2)     클래스의 멤버변수 item 가진 값에 10 더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3)     myObj 객체를 생성한다 

(4)     set_value() 통해 100 전달한다.

(5)     myObj 객체를 생성해서 obj01 대입한다.

(6)     set_value() 통해 200 전달한다.

 

 

 [문제 2]. Tkinter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연동할 있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실행 결과 1 :  다음과 같이 레이아웃을 설계 된다.

 

 

실행 결과  2 :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숫자 입력상자가 출력 된다.

 

 

실행 결과 3: 숫자를 입력하고 ok 버튼을 클릭하면  Fibonacci 계산 결과가  먼저 만들어 놓은 부모창으로 리턴 된다.

 

 

# -*- coding:utf-8 -*-

import tkinter as tk

import tkinter.simpledialog as sd

import math

 

class main_window(tk.Frame):

    def __init__(self, parent):

        super(main_window, self).__init__(parent)

        parent.title("Fibonacci")

        parent.minsize(200,100)

(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elf.label.pack()

 

         self.buttons = tk.Button(parent, text="Integer Input", fg="red",command=self.M_askint)

        self.buttons.pack()

 

    def M_fibonacci(self, n):

        if n==0:

            return 0

        if n==1:

            return 1

        return (self.M_fibonacci(n-2)+self.M_fibonacci(n-1))

 

    def set(self, st):

        self.label.config(text=st)

 

    def M_askint(self):

        (2)____________________________

        fn = (3)_________________________

        self.set(fn)

 

 

if __name__  == '__main__':

    root = tk.Tk()

    mw = main_window(root)

    (4)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부모 창에 “Fibonacci” 출력되는 Label 생성한다

(2)  차일드 창에 정수를 입력 받는 코드를 작성한다

(3)  Fibonacci 연산한 결과를 가진 함수를 호출한다.

(4)  툴킷을 실행 하는 코드를 작성 한다

 

 

[문제 3]파이썬에 내장된 sqlite3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하여 자료를 입력하고 실행결과와 같이 출력되도록 조건 1 ~ 조건 3까지 파이 구문으로 작성합니다.

 

조건 1. fruit.db 만들어 fruit테이블을 다음과 같이 생성합니다.

Id (serial)

Name(text)

Price( text)

 

 

조건 2.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Id (serial)

Name(text)

Price( text)

1

사과

2000

2

1000

3

바나나

4000

 

조건 3. 실행결과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

 

사과 2000 입니다.

1000 입니다.

바나나 4000 입니다.

 

 

정답이 궁금하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리] IT용어정리  (0) 2022.03.24
전산용어 모음집  (0) 2020.10.02
728x90
반응형

오늘은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용어 중 제안서와 관련된 RFP, RFI, RFQ에 대한 의미와 작성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RFP의 의미

Request For Proposal이라 의미로, 흔히 제안 요청서라고 불립니다.

프로젝트 담당할 최종 업체를 선정하기 전, 1차로 선별된 업체들에게 보내는 문서인데요.

원하는 요구 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안 요청서에는 프로젝트의 주제, 목적, 목표, 내용, 기대성과 등 진행할 업무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이 들어가는데요.

요청한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를 확인할 때, 기입된 내용을 토대로 측정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업체 간 의견 충돌을 최소화해주는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작성법

제안 요청서의 핵심은 상대방이 RFP만 보고 업무에 대한 성격과 목적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목요연하게 작성해야 하는데요.

진행할 업무 전체의 대략적인 내용, 입찰 규정, 낙찰자 선정 기준 그리고 목표, 목적, 기간, 기대성과 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RFI의 의미

Request For Information의 약자입니다.

흔히, 사전 정보 요청이라고 일컫는데요.

RFP를 작성하기 전 동향이나 정보를 취합하기 위한 자료로 쓰입니다.

RFI에서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필요한 기술이나 흐름 등을 기재하여, 공급업체에 게에 진행 또는 제공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1차 공급업체를 가려낼 수 있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작성법

기존에는 RFI를 생략하는 기업들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빠른 트렌드 변화와 이를 반영하려는 목적으로 RFI를 요구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시장이라면 RFI는 필수인데요.

주로, 회사의 현황(해당 업무를 담당 인원, 회사 연혁, 매출액 등 회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정보)와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능, 성능, 향후 기술적 추이, 고객사 현황, 기존 작업 내역 및 예시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시장, 트렌드 분석 및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도 함께 필요합니다.

RFQ의 의미

Request For Quotation이라는 의미로 제안 견적 요청서를 뜻합니다.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한 것이 예산이나 견적인데요.

아무리 좋은 내용이어도 터무니없는 금액을 요구한다면 프로젝트 진행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보통 RFP를 요청할 때 RFQ를 같이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RFQ는 RFP와 함께 검토하여, 최종 공급 업체를 선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작성법

RFQ 역시 입찰 참여 조건을 갖춘 업체만 작성할 수 있는데요.

견적이 나와있는 문서인 만큼 제공할 기술이나 제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스펙을 기재해야 합니다.

특히, 진행할 업무에 사용할 기술과 제품이 다양하며, 여러 부서와 협력해야 하는 사항이라면

누락된 사항이나 조정이 필요한 부분은 없는지 더욱 꼼꼼하게 작성해야 하는데요.

RFP에 기재한 기한, 담당 인력 그리고 RFQ에 기재한 기술과 제품으로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중점적으로 보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확실하게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직장인이 알면 유용한 제안서 관련 용어들을 알아보았는데요.

실제 서식이나 예시는 프로젝트 성격, 업체 성격, 시장 성격에 따라 많이 상이하기 때문에 특정한 양식을 올려드릴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용어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진행할 프로젝트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다면 더 쉬워지겠죠?

그럼, 메대리는 앞으로 더 유용한 꿀 팀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제안서 용어, RFP/RFI/RFQ의 의미와 작성법|작성자 메일플러그

728x90
반응형

1. 아젠다 (Agenda)

완수해야하는 업무 내용을 사전에 정리해 둔 항목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회의 전에 준비하여 이 아젠다에 따라 논의를 결정지어 나갑니다.

2. 애자일 (Agile)

기민하면서도 민첩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IT업계에서는 경영환경에 따른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 개발방법 등을 의미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됩니다.

3. 이슈 (Issue)

비즈니스 상의 과제, 문제점, 논점, 중요 포인트 등을 의미합니다. 매일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4. 컨센서스 (Consensus)

여러 명의 동료들과의 합의, 동의를 구한 일을 의미합니다. 이 동의를 구할 때 보통 '컨센서스를 구하다'로 말하곤 합니다.

5. 스테이크홀더 (Stakeholder)

주주, 거래처, 고객은 물론 동료까지 기업환경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를 영어로 자주 표현합니다.

6. 태스크 (Task)

주어진 임무를 의미합니다. 영어로 자주 말합니다.

7. 픽스하다. (Fix)

업무를 최종 의사결정 지을 때 '픽스하다'라고 표현합니다.

8. 베스트 프랙티스 (Best Practice)

과거 사례 중 가장 효과적이었던 방안을 의미합니다. 이 베스트 프랙티스에 따라 업무를 진행해 나가는 일이 많습니다. 

9. 퍼소나 / 페르소나 (Persona)

심리, 마케팅 쪽에서는 페르소나로 부르고 UX업계에선 퍼소나로 많이 부릅니다. 정확히 말하면 두가지 의미가 조금은 다릅니다. 하지만 보통 회사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가장의 인물을 세우는데 이 인물상을 의미합니다.

10. 팬딩된다. (Pending)

보류된다는 의미를 영어로 많이 사용합니다. 

11. 마일스톤 (Milestone)

중요한 업무 진척도를 관리하기 위한 일종의 업무 진척표입니다. 일정, 태스크 등에 따라 마일스톤이 달라집니다.

12. 공수 (영문은 아니지만 많이 사용)

인적, 물적 자원을 의미합니다. '공수가 많이 들어요'라는 의미는 시간이 촉박하고 업무에 관련된 사람이 많이 필요하다고 해석하면 좋습니다.

13. 런칭 (Launching)

서비스가 시장에 발매될 때 런칭된다고 말합니다. IT 업계에서는 서비스가 정식 공개되는 걸 의미합니다. 정식 공개가 아닌 사전 공개는 '베타', '베타 오픈' 등으로 부릅니다.

14.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수익률이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ROI=이익÷비용X100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 수치가 클수록 이율이 좋게 나와 효과 높은 투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15.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목표달성 프로세스 진척 상황을 수치로 측정하여 나타내는 것입니다. '중요업무평가지표'라고 해석됩니다. 부서의 KPI, 개인별, 서비스별 KPI가 모두 다르며 IT 서비스에서 중요한 KPI로는 회원가입자수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16. ROAS (Return On Advertising Spend)

광고비 1원당 매출액을 ROAS(광고비용대비효과)라고 부릅니다. 이 수치가 높을 수록 광고 효과가 높습니다. 

ROAS는 ROAS=매출액÷100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17. 포지셔닝 (Positioning)

자사제품을 경쟁사와 비교해 분석하는 것을 포지셔닝분석이라 말합니다. 자세제품이 현재 경쟁사대비 어디에 위치해있는가를 가리킵니다.

18. 스킴 (Scheme)

업무상의 계획을 의미합니다.

19. 컨버전 (Conversion)

기업의 목표(이커머스 사이트를 예시로 든다면 제품구매) 행위를 고객이 달성함을 의미합니다. 성과로도 해석되며 전환율이 높을 수록 매출이 높아집니다.

20. 어사인 (Assign)

하나의 업무를 나누어 각자 실무자에게 맞게 나누는 일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영어로 꽤 많이 사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e-HR은 기업 HR의 관리적 특징이 달라짐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성향을 가집니다.

물론, 시대의 흐름을 바꿀만한 IT 기술의 발달이 e-HR의 변화에 대한 동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를테면,  ‘웹의 폭발적 보급’, ‘스마트 폰의 등장’, ‘소셜 네트웍 서비스(SNS) 활성화’, ‘빅 데이터 활용에 대한 기대감 상승’과 같은 것들이죠.

e-HR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동인은 기술보다 HR 자체의 변화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기업이 성장하며 겪는 HR 자체의 변화가 e-HR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모든 기업은 인적자원 선발부터 배치, 관리, 육성을 거쳐 퇴직에 이르는 HR 수명주기에 대해 각자 나름의 규칙과 프로세스를 가집니다. 크든 작든, 기업이 개방적 문화를 가졌든 권위적 문화를 가졌든 모두 자신의 역사와 함께 체계를 갖춘 HR 체계가 있죠. 벤처에서 대기업까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은 기업이라면, 창업 이래로 전해진 독특한 기업 문화와 경영 철학이 있습니다.

모든 기업은 HR 수명 주기를 관리하는 나름의 독특한 체계가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요즘의 e-HR에 요구하는 것이 조금 달라진 부분이 있다면, 그 이유는 예전에 비해 지금의 기업들이 좀 더 민첩하게,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조직의 성장에 따른 HR의 변화가 좀 더 입체적이 되었기 때문일 겁니다.

최근 e-HR의 변화를 이끄는 몇 가지 HR 이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 조직의 성장 방향이 좀 더 수평적이고 기능적으로 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 통합 / 분화되는 조직의 크기가 다양하다, 아울러 조직간 HR 체계의 성숙 레벨이 서로 다르다.
  • 통합 / 분화되는 조직의 국적도 다양하다.
  • 거의 모두 이미 전산화 된 e-HR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 밖에도 여러 이슈들이 있겠지만, 서로 다른 제도와 문화, 경영철학을 가졌던 조직들이 기업의 성장에 따라 융합되며 같은 체계 안에서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HR에서 특히 쉽지 않은 도전이 됩니다. 그러므로, HR과 발 맞추어야 하는 e-HR 도 이런 복잡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기업 HR은 그 발달 과정이 서로 다른 만큼,
HR이라는 큰 틀 안에서는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체계를 가집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로 요구되는 e-HR의 대응 능력은 아래와 같은 것들입니다.

 

  • 데이터 통합성 지원
  • 프로세스 통합성 지원
  • 커뮤니케이션 지원

 

첫 번째의 ‘데이터 통합성 지원’은 이런 상황에서 e-HR이 갖추어야 할, 어찌 보면 가장 기본적인 능력입니다.

기업 내에서 기존에 수기로 관리하던 데이터를 전산화 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MS엑셀로부터, 자체 개발된 e-HR 시스템까지 HR 정보를 관리했던 다양한 IT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HR 데이터를 하나의 맥락에서 관리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필요 조건이 되기 때문입니다. 조직 속성, 인사 관리 항목, 역량, 직무, 급여 항목 등 전산화된 HR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했던 정형화된 거의 모든 데이터 요소들이 통합성 지원이 필요한 대상이 됩니다. 데이터 통합의 관점에서 e-HR 시스템은 ‘통합관리체계 제공’ 과 ‘일관된 해석장치’ 에 대한 능력을 요구 받습니다.

기존의 데이터는 존재 방식과 관리 방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체계 안에서 회사별로 구분할 수 있는 관리체계를 갖도록 하는 것은 많은 노력이 드는 일입니다. 보통 여러 체계를 통합할 때 가능한 한 많은 경우의 수를 대응하려다 보니 막상 만들어지는 결과물은 관리가 힘들 정도로 필요 이상의 복잡한 체계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e-HR은 가능한 한 명료하면서도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관리 도구를 통해 이를 지원해야 합니다.

같은 의미의 데이터라도 관리되는 형식과 체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존 데이터는 일반 텍스트, 마스터형 코드, 이력 방식의 코드 등 여러 형태로 존재합니다.

 

회사별로 구분된 데이터관리 체계를 갖는 것과 더불어, 데이터들은 경영정보 시스템(EIS) 이나 타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e-HR은 하나의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데이터를 일관된 방법으로 해석 할 수 있는 변환도구나 매핑 도구를 통해 이를 지원해야 합니다.

최근의 구축사례에서 이수 OPTI-HR은 자동화된 시스템간 코드 변환 체계를 지원하는 패키지를 납품했습니다.
( HR 시스템 직무와 – 채용 시스템 모집 코드간 동기화 사례 )

 

두 번째, ‘프로세스 통합성 지원’ 측면에서 e-HR은 기업 내 IT 시스템 통합의 주체적 역할을 할 확률이 적기 때문에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종 HR 프로세스간의 통합’과 더불어, ‘수기 프로세스의 전산화’, ‘기간 시스템과의 연계’에 대한 요구를 받습니다.

HR 프로세스 통합은 데이터 통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체계 안에서 회사별로 독자적인 프로세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관점에서의 e-HR 역시 통합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분화되어 개별화된 여러 프로세스의 흐름을 수용할 수 있는 도구적 지원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e-HR은 결국 IT 관점에서 프로세스 통합을 지원하게 되기 때문에, 바탕이 되는 데이터 통합이 먼저 요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통합 프로세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기존에 수기로 처리되던 부분이 전산화 되기도 하는데, 인사 담당 부서가 아닌 일반 임직원이 해 오던 기존 작업방식이 바뀌게 되는 만큼, e-HR은 직관적이고 사용성 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도구를 통해 이를 지원해 주어야 합니다.

 

최근의 구축 사례에서 이수 OPTI-HR은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면접 평가를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갖춘 온라인 면접 평가 방식으로 전환했습니다.

 

또한, 하나의 큰 IT 체계 속에서 e-HR은 기업 내 기간 시스템과 함께 쓰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룹웨어부터 시작해서 ERP, 출입 관리 시스템까지 기업 내의 다양한 시스템이 각자의 방식으로 기업의 복잡한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e-HR의 필요와 상관 없이 변경되거나 교체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통합 관점에서 e-HR은 기업 내 다양한 시스템 환경 변화에 일관되며 유연한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일반적이고 표준화된 시스템 인터페이스 체계와 손쉬운 유지보수 체계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지원’ 측면에서 e-HR은 다양한 방법으로 HR 주체들을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변화하는 제도나 HR 부서의 의도가 조직에 쉽게 전파될 수 있어야 하고, 성과관리를 위한 팀 간의 소통이 원활이 지원되어야 합니다. 또한 경영자는 HR관점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지표들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e-HR은 이를 위해서 HR시스템의 이벤트를 수집하여 정보화 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를 전파할 수 있는 쉽고 직관적인 수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성장하는 기업에서 HR 의 변화가 이끄는 e-HR의 변화에 대한 몇 가지 특징적 요소를 살펴봤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위에서 나열한 e-HR의 각 대응 능력에 대해 구체적으로 사례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보고서, 의사 전달의 도구 이상도 이하도 아닌

 

기업 내의 많은 의사소통은 메일이나 보고서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사람과 일이 많기에 짧은 시간에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중요 내용만 있는 유형의 전달 도구를 통해 많은 사람에게 단기간에 전달되는 게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게 과해서 아무 말 보고서로 하드디스크를 낭비하고 아까운 종이를 버리고 인생을 낭비하는 일도 있습니다. 이것은 본질과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차치하면 관리직의 숙명 중 하나는 효과적인 의사 소통에 있습니다. 특히 제안서나 보고서, 메일 같은 한 번 쓰면 빼도박도 못하는 종류의 것을 잘 사용하는 것 말이죠.

특히 기획자는 보고서가 많습니다. 세상의 수 많은 기획자들의 과업이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보이지 않는 것을 설명해야 하는 일이 많기에 효율적인 의사 전달이 어렵습니다. 아직 나오지 않은 서비스나 상품을 설명하는 것부터 조직의 비전과 문화에 대한 설명, 역량의 발전과 시장 상황에 대한 내용은 말로도 어려운데 이걸 글로 쓰자니 쉬운 일이 아닙니다. 더군다나 한국 기업의 문제점 중 하나인 윗 사람이 시키지만 시키는 사람 조차 이게 뭘 하란 건지 모르는 일인 경우에는 더 그렇습니다. 제목은 알지만 내용은 계속 수정해 나가면서 어렴풋이 모두 알게 됩니다.

이런 많은 보고서를 잘 쓰는 것도 능력입니다. 몸이 거부할 수 있겠지만 현실이 그렇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잘 전달하는 것은 비단 기업 뿐 아니라 살아가는 모든 상황에서 큰 성취를 만들곤 합니다. 전략 기획자의 효과적인 보고서는 불필요한 행동을 없애고 기업 내부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지부진 하던 모두의 생각을 하나로 모으고 일을 실행하는 전환점이 되는 것입니다. 잘 쓴 보고서는 길지 않아서 읽는 사람이 잘 이해가 되고 핵심만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부연하는 정확한 숫자와 사례가 나와서 누가 봐도 맞는 말이라는 인상을 줍니다.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것이죠.

 

하지만 이렇게 보고서를 쓰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쓰고 싶은 것을 쓰지 못하게 만드는 외압도 문제지만 설령 뚜렷하게 주제를 알았다고 해도 표현력이 약해서 효과적으로 의사 전달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렵게 고민해서 창작을 하면 격려는 커녕 다시 쓰라는 핀잔만 날라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사나 직장 상사가 잘못되었다면 어쩔 수 없지만 비교적 합리적인 사람이 그런 반응이 나온다면, 계속 나온다면 자신의 보고서 쓰는 방법을 바꾸어야 합니다.

 

먼저 소위 칭찬 들었던 보고서와 자신을 비교하지만 이런 경우 눈에 먼저 들어오는 것은 보고서 디자인과 화려한 그래프일 것입니다. 내용의 배열과 주장과 근거를 대는 것보다 당장 나의 보고서에서는 보여주지 못한 효과들에서 보고서 쓰기는 어렵다는 결론으로 포기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보고서의 기본적인 목적이 그런 데에 있지 않기 때문에 핵심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것만 보면 됩니다. 읽는 사람을 이해시키는 방식 말이죠. 눈에 화려한 것보다 다 읽고 나서 이해가 되고 핵심적인 주장이 이건데 왜 이렇게 말하는지 머리에 남느냐에 대한 것이죠. 세부적으로 글자가 틀리고 줄이 안 맞고 이런 것은 부차적인 문제입니다. 그런데 시간을 낭비하면 정말 인생을 낭비하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핵심적인 부분만 보면 됩니다. 아래 내용들은 효과적인 보고서를 쓰는 방법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니 필요하시면 참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반드시 고유명사를 쓴다

 

보고서의 결론은 고유명사가 있어야 합니다.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하지 않으면 인사이트가 없고 실행할 수 없는 보고서가 될 수 있습니다. 보고서가 문제를 진단해서 핵심 원인을 찾고 대안을 찾아서 실행 방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 보통의 흐름이라면 각 과정에서 고유명사로 핵심적인 내용이 다루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핵심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다루는 내용에서는 '4분기 매출 악화의 원인은 가전 분야의 부진이었습니다'라는 말보다는 '4분기 매출 악화의 원인은 가전, 그 중에 청소기 000 모델의 부진이었습니다'라고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문제 인식을 환기해 줍니다. 가전이 부진하다는 것보다 000 모델을 언급하는 것이 무엇을 바꾸어야 할지 구체적인 방향을 지시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은 보통 민감한 사안이므로 내부에서는 안쓰는 것과 다름없는 대명사 위주의 보고서가 넘쳐납니다. 하지만 실무진 입장에서는 고유명사로 설명을 해야 이해가 쉽고 전사적으로 빠른 행동이 가능합니다. 대안의 경우에도 그렇습니다. 단순히 '1분기에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과 함께...' 이런 식의 나열보다는 '1분기에는 영업외 비용인 000 비용을 00% 줄이고...' 이런 식의 구체적인 결론이 나야 실제 일을 진척한 기간의 성과가 온전히 드러나고 이후 정말 회사를 바꾸는 일에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유명사를 말할 수 없다는 것은 실제로 핵심 내용을 알지 못하고 있든지 회사 문화가 굉장히 폐쇄적이고 정치적이든지 하는 원인이 많습니다.

 

2. 핵심이 되는 숫자와 사례를 함께 표기

 

주장의 정도와 근거의 핵심 변곡점은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면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향은 고유명사 등으로 구체적으로 표현이 가능하지만 정도는 숫자로 표현하는 것이 서로 이해가 가능합니다. 목표 숫자라는 것은 막무가내식의 활동 혹은 전혀 하지 않는 활동 모두를 막아줍니다. 구체적인 근거가 동반된 상태에서 얼마까지 어떻게 하자는 표현은 전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생산라인의 리드타임을 현재 일 20분에서 크게 줄여야 한다'는 것보다는 '생산라인의 리드타임을 현재 일 20분에서 15분 수준으로 단축시켜야 한다'라는 표현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15분의 근거가 되는 우수 사례나 기술적인 변화를 함께 언급한다면 실제로 일이 될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 실제 이 정도를 보고할 수 있다는 것은 생각의 정리가 완결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향후의 행동을 주장할 때는 숫자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숫자로 나타내지 않으면 단순한 구호에 그치는 일이 많습니다. '00 지점은 올해 매출 2배를 하겠습니다'라는 구호성 말보다 '00 지점은 000을 통해 2억, 000을 통해 4억을 추가하여 매출 6억을 추가하겠습니다'라는 게 더 구체적이고 나중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물론 이런 숫자 자체를 정치적으로 오용하거나 확인할 수 없는 상태로 방치하면 그게 더 문제가 되겠지만요. 그러기에 목표 자체보다 이것이 가능한 근거들을 기술적으로 설명하는 데 더 많은 분량을 할애하는 것이 맞습니다.

3. 페이지 순서는 읽는 사람의 생각 순서로

보고서에서 중요한 것은 페이지의 순서입니다. 두괄식이 좋다는 것은 다 아실 것입니다. 결론을 앞에 쓰는 것은 어디서나 공통적입니다. 다만 결론 이후의 페이지 구성이 문제입니다. 이후 페이지의 구성은 처음 이 분야를 접하는 사람이 알아야 하는 배경부터 이것의 현상과 원인, 결론으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전제를 뒤에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혼란을 야기시키고 보고서는 곧 덮이게 됩니다. 페이지의 넘버링이나 타이틀에 신경을 많이 쓰지만 그보다는 페이지는 읽는 사람의 생각의 흐름에 맞추는 게 기본적인 접근이고 가장 시간을 많이 가져가야 할 부분입니다. 이런 관점으로 보다보면 필요없는 페이지가 많이 나옵니다. 흐름을 방해하거나 중간에 액자 형식으로 들어가 있어서 당장 없어도 대세에 영향이 없는 페이지가 발견됩니다. 그런 것은 빼면 됩니다. 보고서는 간명해야 만드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정말 더 많은 분량의 배경 설명이 필요한 것이라면 그것은 보고서가 아닌 구두의 형태로 따로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걸 보고서로 요구하는 일은 없어져야 하겠습니다.

4. 원인이 있으면 대안이 있어야

초보자와 숙련자와의 결정적인 차이입니다.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 말입니다. 문제와 원인만 잔뜩 나열하고 보고자의 지능과 배경지식을 자랑하는 보고서는 기업에서는 그리 필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대안을 가지고 발전시키고 바꾸어 나가는 것이니까요. 따라서 장황한 사례나 숫자의 나열로 많은 페이지를 써가며 문제를 파헤친 후 1~2장의 대안으로 막을 내리는 보고서는 우수한 보고서로 보기 어렵습니다. 보고 시점이 원인 진단에 그치는 경우가 아니라면요. 이것은 대안에 대한 생각 없이 이 보고서를 받는 사람에게 전적으로 맡기는 것입니다. 보고자의 두뇌는 여기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죠. 사실 보고자만큼 이 사안에 대해 고민한 시간이 많은 사람은 조직에 드물텐데 그렇게 되면 최선의 대안은 항상 나오기 어렵게 됩니다. 보고자는 반드시 1개 이상의 대안, 되도록이면 경우에 따라 몇 개의 대안을 준비하고 그것의 기대효과와 근거 필요한 역량에 대해 구체적인 서술 후 보고 받는 사람이 그것을 선택하게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보고 받는 사람이 뭔가 할 게 있는 보고회여야 하니까요. 다만 보고자의 생각이 들어가야 합니다. 이런 대안 중에 나는 보통의 경우 이게 더 낫다고 생각한다는 약한 의사 개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없다면 보고자는 어렵게 일해 놓고 남들이 자신의 밥그릇을 가져가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될 것입니다.

 

5. 대안은 구체적인 실행 방법으로

 

대안은 실행 대안입니다. 대안의 형태는 구체적 실행이 가능한 형태여야 합니다. 가령 대안의 아웃라인을 보여주는 것이죠. '이런 식의 아웃풋이 될 거다'를 이미지로 보여주거나 어디까지 할 거다라는 것을 미리 언급하거나 누가 얼마를 써가면서 언제까지 대략 가능하다는 스케쥴을 언급하거나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안이 구체적이지 않으면 애써 쓴 보고서 자체가 무의미한 것으로 취급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대안에 대한 지불 비용을 반드시 언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효과만 잔뜩 쓴 것보다는 실제 이 정도의 비용이 발생한다든지 이게 필요하다든지 하는 비용의 언급이 있어야 일을 실체를 가지고 움직이고 보고 후 다른 소리가 기업 내부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이게 없다면 보고는 보고대로 했지만 일은 안되고 보고한 사람의 입장이 난처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보고회 역시 문제의 진단이 잘 되었는가에 많은 시간을 쓰는 게 맞지만 대안에 초점이 맞추어진 내용이라면 대안의 구체성과 성과의 정의, 성과가 되게 하는 방법에 많은 시간을 쏟는 게 맞습니다.

 

6. 페이지 아래 부분에 근거를 쓰고, 발전된 내용은 다음 페이지에

 

한 페이지는 두 개 이상의 메세지가 있으면 안 좋다는 것은 많이 아실 것입니다. 보통 페이지의 구성은 페이지의 타이틀, 그 아래 핵심적인 주장, 그리고 그것의 근거가 나오는 순서입니다. 위에서 다룬 내용은 대부분 주장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하지만 근거 없는 주장은 소용이 없습니다. 대부분 프로젝트 기간에는 근거를 잡는데 많은 시간을 쓰게 되어 있습니다. 그 근거를 효과적인 것만 형상화해서 표현하는 것이 페이지 하나를 완성하는 핵심입니다. 근거는 보통 조직도, 순서도 같은 도면 형식부터 사례와의 비교, 현재와 미래의 변화, 핵심 원인이나 카테고리 분석 등 다양한 형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주장에 있는 숫자와 고유명사가 아래 근거를 통해 설명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페이지를 구성하면서 논의가 발전될 수 있는데 그런 내용은 반드시 다음 페이지에 오도록 합니다. 한 페이지에 화살표로 시계열적인 다음 주제를 던지거나 더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것은 페이지 내 핵심 내용을 흐릿하게 만들면서 읽는 사람이 많은 공을 들여야 하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7. 근거 데이터, 출처를 반드시 표기

 

근거 데이터, 출처를 표기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하지만 많이 빠트립니다. 특히 숫자나 사례는 어디서 나온 것인지 어딘가에 있어야 하며 그것의 시점, 누가 했는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가 함께 표기 되어야 합니다. 처음 페이지를 보는 사람은 항상 그것을 의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표기가 필요합니다. 표기하다보면 이 출처가 신뢰성이 있는지 없는지 스스로 알게 될 것입니다. 이왕이면 성공한 경험이 있고 유사한 사례, 권위를 인정받는 곳의 데이터를 가지고 하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들 것입니다. 구호성에 그치는 보고서들은 근거 데이터가 없거나 빈약합니다. 작성하는 사람 스스로 제대로 된 합리적인 주장인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8. 단위나 주석은 읽는 사람을 위해

 

단위 표기나 주석을 아래에 넣는 것에 인색해서는 안됩니다. 다만 이런 표기가 본문을 가리거나 본문보다 더 눈에 잘 보이면 안됩니다. 단위 중에서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많이 쓰는 것을 다 알거라고 생각하고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모든 숫자는 단위가 다 나와 있어야 합니다. 통화의 '원'이나 사람의 '명' 등은 많이 누락하는 단위입니다. 주석도 예외 사항이나 주의점을 반드시 설명해야 합니다. 나중에 백의 하나라도 다른 경우가 나오면 그것을 언급하지 않았었다는 이유만으로 나머지 부분들이 신뢰를 잃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보고서를 읽는 사람이 이 내용에 대해 잘 모른다고 가정하고, 또 이 내용을 기본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읽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되는 장치를 만드는 게 좋은 보고서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9. 핵심만 보이도록

 

페이지를 구성하고 나면 다시 한 번 봐야 합니다. 가장 먼저 무엇부터 눈에 들어오는지를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욕심으로 여기저기 디자인을 한 페이지는 정작 내용이 보이지 않습니다. 화려한 컬러로 덧칠한 레이아웃은 눈에 잘 보이지만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자세히 읽어야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짧은 시간 핵심적인 메세지를 전달하려는 본래의 취지를 잃어버린 것입니다. 차라리 이런 껍데기는 아예 없는 게 더 낫습니다.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컬러는 2개 내지 3개 이내에서 정리되어야 합니다. 사실 1개로도 충분합니다. 컬러만 아니라 폰트나 글자의 크기로 얼마든지 주목받는 문장이나 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수고는 오히려 화려한 디자인에 비해 만드는 시간이 더 들지는 않지만 고민은 더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왕이면 문장은 길지 않게 주어와 술어의 간격이 멀지 않고 주술 관계의 구조가 단순한 게 좋습니다. 그러면 문장은 자연스레 짧아지게 됩니다. 굳이 만연체로 쓸 필요가 없어집니다. 사례를 문장에 마구 집어 넣는다는 것은 그것을 관통하는 공통적인 성질에 대한 이해가 덜 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입니다. 사고가 정리가 되면 짧게 나오지 길게 늘어지지 않습니다.

 

소속된 집단마다 각 민족과 국가처럼 저마다 문화가 다릅니다. 그래서 보고서나 문체는 그 집단의 영향을 받는 것이 당연합니다. 위에서 다룬 내용들도 고지식하게 따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현재 조직에서 만들어지고 읽혀지고 있는 토대 위에 이런 생각들을 잘 대입해 보면 보고서는 대학원 논문을 쓰는 것과 비슷한 구성, 혹은 뉴스 기사가 시작해서 자료가 나오고 인터뷰를 따고 맺음말을 맺는 구성과 매우 닮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중요한 것은 이런 토대 위에 말하고자 하는 내용, 그 자체인 것이죠. 이것은 이런 스킬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오직 생각하는 것에 달려 있으니까요. 또 어떻게 해야 여기서 주장하는 아젠다를 실행하게끔 만드느냐를 생각해야 합니다. 일은 이제부터 시작이니까요.

728x90
반응형

가상 채널 식별자(VCI : Virtual Channel Identifier)


ATM 셀 서식에서 정의된 가상 채널(VC)을 식별하기 위한 16비트의 식별자이다.

가상 패스 링크(VPL : Virtual Path Link)


비동기 전송 방식(ATM)에서 가상 패스 식별자(VPI) 값이 할당되는 점과 이 값이 해석되거나 제거되는 점 사이의 가상 채널 링크의 군(집합), 즉 하나의 공통 VPI에 의해 식별되는 가상 채널 링크의 군을 말한다. 가상 패스는 하나의 공통 식별자값에 의해 조합된 복수의 가상 채널에 속하는 ATM 셀들의 단방향 운반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


가상 회선(VC : Virtual Circuit)


패킷교환망에서 통신하려는 두 접속점 사이의 전송경로가 논리적으로 고정되어 통신하는 동안은 물리적으로 고정된 전송경로상에서 통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연결방식이다.


가습기


전산실 내도의 일정 습도를 유지하는 시설이다.


가용성(Availability)


사용이 필요할 때 한 소프트웨어가 지정된 시스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확률로써 총 운영시간에 대한 시스템 가동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감지기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로써 작동방식에 따라 열감지기와 연감지기, 복합형 감지기 및 불꽃감지기 등으로 구분된다.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NMP :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다. 원래 SNMP는 네트 워크 관리를 위해 일시적으로 출현한 기술로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보다 기술적인 수준은 훨씬 낮은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SNMP는 TCP/IP에 기반하고 있는데다 단순성과 오버헤드가 적다는 장점으로인해 오히려 관리프로토콜의 대세를 이루고있다.


개별 모니터링


각 운영 기능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운영상태관리를 의미한다.


객체(object)


데이터베이스에서 객체는 테이블, 인덱스, 프로시져, 트리거, 뷰, 시퀀스 등 데이터베이스 내부에서 생성되어 관리되는 모든 대상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 객체는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관리하려는 방법들이 분리되어 또는 통합되어 처리된다.


건물하중


건물 바닥면이 적재하중을 견디는 능력을 말하며, 바닥 면적(㎡)당 적재하중(㎏)으로 표시한다.


게이트웨이(Gateway)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시켜 주는 장치를 말한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유형의 네트워크들을 이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호출이 행해지는데,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보내지는 메시지나 포맷들은 모든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므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시켜 주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한 것이다.


경계구역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이다.


경합(Contention)


①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태스크가 동시에 같은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 시스템 다운의 한 원인이다. ② 키제한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CPU, Memory, Disk I/O, Network I/O)을 사용하려는 프로그램의 집중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자원에 대한 경합이 발생하는 것은 정상적 이지만, 집중현상이 지나치게 되면 병목현상(Bottleneck)으로 나타나게 된다.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공유 메모리는 일반 운영체계 서비스가 사용하는 읽기/쓰기 방식에 의한 것보다 프로그램 프로세스들이 데이터를 더 빠르게 교환할 수 있는 방법이다. 공유 메모리 의 지정된 공간을 사용하면, 시스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데이터가 양쪽 프로세스에 의해 직접 액세스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공유 프로그램 코드 또는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에 캐슁해 놓고 사용하게 되면 액세스 타임(Access Time)이 빨라지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이 개선 된다.


과부하(overhead) - 초과용량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수반되는 부수적인 작업 또는 그것에 소요되는 시간 즉, 프로그램의 관리, 스케줄링, 기억 장소 할당, 하드웨어의 제어 등 운영 체제에 의해 수행되는 부수 적인 작업이나 또는 그것에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운영 체제가 자원 을 이용하거나 동작하는 동안에는 프로그램이 실제로 실행되지 않으므로 낭비라고 간주된다. 따 라서 오버헤드는 운영 체제를 평가하는 하나의 가늠이 되며, 작을수록 응답이 빨라진다.


관리 정보 베이스(MIB : Management Information Base)


망 기기를 감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화된 관리 정보 항목을 말한다. 망에서 관리되 는 장치가 정적 또는 동적 정보로써 유지되며, 관리 장치가 그 내용을 얻고 변경한다.


관리 정보 베이스 II (MIB-II : Management Information Base II)


TCP/IP 기반의 인터넷상에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하기 위한 MIB의 2번째 버전을 정의한다. 모든 SNMP 에이전트와 도구들은 MIB-II에 따르는 MIBs를 포함하며 모든 장치들은 MIB-II 표준을 따르는 최소한의 값들을 보여준다.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미국표준협회(ANSI)의 X3T 9.5 위원회가 1982년부터 표준화를 추진한, 광섬유를 전송 매체 로 하는 고리형 망에 컴퓨터나 단말 장치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한 고속 구내 정보 통신망 (LAN)의 표준 규격이다.


교착 상태(deadlock)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현상으로 프로세스들이 서로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영원히 대기 상태로 빠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교착상태가 발생하는 원인은 프로세스 사이에 할 당된 자원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로직의 실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성관리 데이터베이스(CMDB :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IT서비스관리의 대상이 되는 IT 기반구조, 조직, 문서에 대한 상호관계 정보를 집적한 것으로 써, IT 서비스 프로세스의 상호 연동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구성요소(Configuration Item)


정보시스템을 구성하는 항목으로써, 개별적으로 인식하고 취급될 수 있는 구성관리의 대상을 의미한다. 유일한 식별자가 부여되어 개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긴급 변경자문위원회(CAB/EC : Change Advisory Board/Executive Committee)


업무 영향도가 매우 크거나 긴급 장애가 발생했을 때, 변경자문위원회를 소집할 시간이 없을 수 있으므로 긴급한 결정을 내릴 권한이 있는 소규모 조직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긴급 변경자문위원회라 한다. 가능하면, 적절한 기준에 근거하여 각각의 장애에 대해 변경자문위원회 와 긴급 변경자문위원회를 어떻게 구성할지를 사전에 명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진설계


지진 등의 물리적인 충격을 줄 수 있는 자연재해로부터 건물 내의 설비 및 인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네임서버(Name Server)


네임서버는 호스트의 어드레스를 영역 이름 형태로 주면 이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구해서 넘겨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즉, 인터넷에서의 도메인 네임서버와 같은 의미로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Network)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선,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S/W를 통칭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


전사적으로 연결돼 있는 네트워크가 장애 없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만일 네트워크에 부하가 걸려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대역폭(bandwidth)의 사용은 무리가 없는지 등 네트워크 운영 전반에 관한 내용을 감독 및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누수감지기


결로나 배관의 문제로 누수가 발생할 경우 감지하고 경보해 주는 시설이다.


단편화(Fragmentation)


단편화는 서로 다른 객체 레벨에서 일어나며, 데이터베이스 또는 저장된 파일시스템의 성능 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스토리지 상에 저장된 단편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세그먼트에 대 해서는 재구성(Re-Organization) 작업 등을 통해서 단편화 방지(De-Fragmentation) 처리를 하 여야 한다. 이 작업은 성능관리에 매우 중요한 조정(튜닝) 방법 중 하나이다.


대역폭(Bandwidth)


① 초과될 수 없는 최상의 capacity ② Overhead를 무시한 측정치


데이터 백업(Data Backup)


시스템 영역을 제외한 모든 파일에 대한 백업을 의미한다. 이에는 개발자 소스파일, 응용 프로그램 파일, 데이터 관련 파일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보관실(내화금고)


화재나 일반적인 재난에 의한 충격에도 내부에 보관된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구축된 장소이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잘 정리된, 상호연관을 갖는 데이터의 집합이며 자료철이다. 어느 특정조직의 응용시스템들을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유료로 정보·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매체에 저장해 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데이터베이스 성능 관리자(DPA : Database Performance Administrator)


DPA는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관리자를 의미한다. DPA는 일반 데 이터베이스 관리자(DBA)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상위에서 전반적인 DBMS의 성능이 업무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데이터베이스의 전략적인 활용도를 기준으로 최적의 성능을 유지 시킨다. 중요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성능관리를 위한 관리자(DPA)를 별도로 유지하는 것이 추세이다.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란 기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데이터를 공통적인 형식으로 변환하여 일괄 관리 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데이터웨어하우스는 주요 의사·결정·자원 등 정보계 시스템에 사용하며 저장 및 분석, 방법론까지 포함하여 말하는 경우도 있다.


디스크 복제


디스크 복제는 중요한 업무에서 주로 적용하는 디스크 백업 솔루션 중 하나로써 디스크의 이 미지를 다른 디스크로 빠르게 복제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복제의 속도가 빠르고 복구 역시 용이하 며 보통 디스크 제공사의 복제 솔루션을 많이 사용한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 : Digital Service Unit)


디지털 회선용의 회선 종단 장치이다. 데이터 서비스 장치, 디지털 회선 종단 장치라고도 한 다. 주 컴퓨터나 각종 데이터 단말장치(DTE)를 고속 디지털 전송로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 는데 필요하다.


라우터(Router)


근거리통신망(LAN)을 연결해주는 장치로써 정보에 담긴 수신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라이브러리(Library)


구성항목이 저장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인 저장 공간, 파일 서버 등이 해당된다


랫치(Latch)


DBMS의 주된 기능 중 하나인 동일 자원에 대해 동시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이다. 랫치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획득되고 해제된다. Queue를 통해 관리되지 않으므로 먼저 Request한 프로 세스가 먼저 랫치를 획득한다는 보장이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배타적(Exclusive) 모드로만 획득 된다. 랫치는 주로 공유메모리의 특정 메모리 구조체에 대한 액세스(library cache latch, cache buffers chains latch) 혹은 메모리 할당 시(shared pool latch) 사용되거나 DBMS의 중요한 코 드가 동시에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redo writing latch) 사용된다.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다중 처리 시스템에서 특정 처리기에 과중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시간 조정 또는 병렬 장비 의 도입을 통하여 부하를 고루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들웨어 서버, 또는 웹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의 병렬화를 통한 하드웨어 레벨의 로드 밸런싱이 있고, 데몬(Daemon) 등 서비스 프로세 스의 병렬 서비스를 통한 소프트웨어 레벨의 로드 밸런싱이 있다.


롤백 세그먼트(Rollback Segment)


특정 테이블의 값이 바뀌게 되면(insert, update, delete), 해당 테이블의 변경 내용을 롤백 세 그먼트(Rollback Segment)라는 디스크 공간에 기록해 둔다. 그리고 나중에 해당 테이블을 읽기 위해 접근할 때,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변경된 상태라면 현재 테이블의 값과 롤백 세그먼트에 기 록된 변경 내용을 조합해 이전 테이블의 버전을 생성 해낸다.


릴리즈(배포, Release)


공식적인 변경 승인 과정과 테스트를 거친 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관련된 문서 등의 변 경사항을 IT사용자에게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릴리즈 관리의 주 목적은 공식적인 절차와 확인을 거쳐 IT 운영환경과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멀티캐스트(multicast)


구내 정보통신망(LAN)이나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일부 사용자 내에서 한 사람이 몇 사람에 게 정보를 송신하고 그것을 수신한 몇 사람이 같은 내용을 버킷 릴레이(bucket relay)식으로 복수 의 사람에게 송신함으로써 정보를 전파하는 특정 다수인에 대한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모듈(Module)


컴파일, 다른 유니트와의 결합, 적재를 함에 있어 개별적으로 식별 가능한 프로그램 단위 이다.


몬트리올의정서


1989년 1월부터 발효되었으며, 정식 명칭은‘오존층을 파괴시키는 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 정서’이다. 1974년 F.S.로우랜드 교수가 제기한 오존층 파괴문제가 지구적 문제가 되어, 이에 따 라 1985년 오존층 보호에 관한 빈 협약이 체결되었고, 1987년 몬트리올에서 정식으로 체결되었 다. 목적은 오존층 파괴물질의 생산 및 사용의 규제에 있으며, 주요 내용을 보면, 염화불화탄소의 단계적 감축, 비가입국에 대한 통상제재, 1990년부터 최소한 4년에 한번 과학적·환경적·기술 적·경제적 정보에 입각하여 규제수단을 재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은 1992년 5월에 가입하 였다.


문제(Problem)


단순한 사고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지만 근본원인(Root Cause)을 파악할 수 없는 사건을 의미 한다.


미러링


미러링은 디스크의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레벨 중 RAID 1에 해 당하는 디스크 구성방법으로써 한 개의 디스크에 물리적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미러링 되어 있는 디스크가 자동으로 장애가 발생한 디스크를 대체하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 주로 OS 디스크 및 중요한 데이터 보관 부분에 많이 사용한다.


반송파감지 다중접근/충돌검사(CSMA/CD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버스 혹은 트리 모양에 접속한 LAN(Local Area Network) 방식의 일종으로 미국 제록스 사 의 이더넷이 처음 사용하고, 그 후 미국 IEEE가 LAN의 표준 방식의 하나로 채용했다. 하나의 전 송로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가 사용하기 위한 방식이다. IEEE 802 위원회가 표준화한 LAN 액세 스 방식에는 CSMA/ CD와 토큰 버스, 토큰링 세 가지가 있다.


발신기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로 기능에 따라 P형, T형, M형으로 설치 장소에 따라 옥외형과 옥내형으로 구분된다.


발전기


장시간 외부 전원의 사용이 불가능 할 때 전원을 공급해 주는 시설이다.


방호구역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설비의 소화범위에 포함된 영역을 의미한다.


방화벽(Firewall)


방화벽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통신 체제로부터 기업의 네트워크를 보호해주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체계를 말한다.


배전반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이다.


배치(Batch)성


컴퓨터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중단되거나 사용자와 대화하지 않고(NonInteractive) 다른 작업들과 함께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작업(Job)의 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OLTP성 작업(Job)의 상반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백업(Backup)


정보시스템의 장애나 화재와 같은 재해로 인해 저장해 둔 정보가 소실되거나 손상될 경우에 대비하여 일정한 시간 차이를 두고 데이터를 복사하여 별도의 매체(디스크 혹은 테이프 등)에 예 비로 저장해두는 행위를 말한다. 이를 통해, 사고로 시스템이나 파일이 피해를 입더라도 최근에 백업한 시점의 내용으로 복구할 수 있다.


백업 구성 방식


백업시스템을 구성하는 형태 및 특징을 의미한다. 백업 솔루션을 구분하기 위해 크게 로컬(다 이렉트) 백업, 네트워크 백업, SAN(Storage Area Network)으로 나뉘어 지며 백업 규모, 시간 및 특성에 따라 그 구성 방식이 결정된다.


백업센터/DR(Disaster Recovery)센터/재해복구센터


현재 사용 중인 전산 인프라를 운영하는 주 전산센터에 반하여 장애 및 재해에 대비하여 사업 연속성(Continuity)을 보장할 수 있는 재해복구를 위한 백업 전산센터를 의미한다.


백업시스템


백업시스템은 백업을 구성하는 장비나 장치를 의미한다. 시스템 및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인프라(전원, 공간, 인력)를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하며 때로는 장애를 대비한 이중화 시스템을 칭하기도 한다.


백업 장비(장치)


백업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매체, 라이브러리, 채널 등의 물리적인 설비를 의미한다. 백업 장비와 백업 장치는 동일한 용어로 정의한다.


변경(Change)


장애 해결, 서비스 개선, 법률 개정 등의 다양한 이유로 정보시스템 구성요소의 상태를 새롭 게 바꾸는 활동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장애가 발생한 디스크를 교체하거나, 현업의 새로운 업무 지원을 위해 OS를 신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변경계획서


변경으로 인한 새로운 장애의 발생을 막고 효율적인 변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변경계획서 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변경 계획서에는 변경일정, 테스트 및 구현을 포함한 작업내역, 책임 과 역할, 변경 실패시의 철회계획 등이 포함된다.


변경관리(Change Management)


변경 요구사항에 따라 구성항목에 가해지는 변화를 변경이라 하며, 변경의 제안, 평가, 승인, 불허, 일정계획 추적 등을 행하는 과정을 변경관리 또는 변경제어라 한다.


변경수행자(Builder)


새롭게 변경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문서 등을 IT사용자에게 안전하게 릴리즈하기 위해 서는 IT구성요소들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통제된 절차가 필요하다. 릴리즈 이전에, 전용 하드웨어 상에서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실행파일을 만들어 내거나 하드웨어를 새롭게 조립하는 활동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을 변경수행(Build)이라 하고 이에 대한 책임자를 변경수행자라 한다. 변경 수행 과정에서 사람이 개입하는 의존성을 줄이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동화를 통한 방법 이 효과적이다.


변경시험자(Tester)


새롭게 변경된 IT 구성요소들을 실제 운영환경으로 배포되기 전에 반드시 엄격한 테스트와 사용자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불충분한 테스트는 모든 변경과 릴리즈의 실패를 초래하는 가장 흔 한 원인이므로, 종합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테스트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테스트 과정의 담당자 를 시험자라 하며, 좀 더 높은 수준의 테스트 결과를 위해 변경수행자와 시험자의 역할을 병행하 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변경요청서(RFC : Request For Change)


변경을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활동이다. 변경요청은 종이 형태일 수 있고 전자문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변경요청자


변경요청을 신청하는 사람이다. 대부분의 변경요청은 현업의 IT 사용자 또는 IT 조직원에 의 해 발생되지만, 벤더나 제 3의 계약자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변경자문위원회(CAB : Change Advisory Board)


중요한 변경에 대해 승인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평가하는 등의 결정권한을 갖는 사람들로 구성된 조직이다. 변경자문위원회는 변경사항에 대하여 해당 업무와 IT 기술 두 가지 관점에서 적 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사람들로 선발해야 한다. 따라서 변경자문위원회는 기술적인 개발과 지원 기능뿐 아니라, IT 사용자의 업무 요구사항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수법의 하나. SQL 문을 분할해 여러 개의 CPU와 디 스크를 사용해 동시 병렬로 처리를 실행한다. CPU나 디스크의 수가 늘어나면 반비례적으로 처리 시간이 짧아진다.


병목현상(Bottleneck)


전체에서 다른 어떤 부분이 아무리 크다 해도 한 부분이 작게 되면 전체적으로는 작은 부분에 의하여 모든 행동이 결정되는 현상으로 최고의 부하 조건 동안에 혼선(traffic)을 줄이기 위하여 제한되는 시스템 용량에 관한 용어를 말한다.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 시스템에서 어떤 하나의 부분 에 대한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 성능은 바로 이러한 부분에 의하여 전체적 으로 떨어지게 되며 컴퓨터 시스템의 작업의 흐름 역시 하나의 장치에 집중되어 이루어진다면 바 로 이러한 작업에서의 성능이 전체적인 작업의 성능을 결정하게 된다.


보안(Security)


기관의 정보자산과 전산 자원을 각종 침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안 감지장치


건물 외벽이나 울타리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무단 침입을 감지하는 장치를 말하며 운동감지 기와 충격감지기가 있다.


보안 경보장치


보안 감지장치로 위험요소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근무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나 빛으로 알려 주는 장치이다.


복구목표시간(RTO : Recovery Time Objective)


재해로 인하여 서비스가 중단되었을 때, 서비스를 복구하는데까지 걸리는 최대 허용시간을 의미한다.


복구목표시점(RPO : Recovery Point Objective)


재해로 인하여 중단된 서비스를 복구하였을 때, 유실을 감내할 수 있는 데이터의 손실 허용시 점을 의미한다.


분전반


전기를 분기하여 각각의 장비에게 공급하는 시설이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다수의 국으로 동시에 정보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동보 메시지는 다중점 회선상의 모든 국에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메시지이다.


비동기 전송 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디지털 데이터를 53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용접속(dedicated-connection) 스위칭 기술이다.


비차폐 연선(UTP : Unshielded Twisted Pair wire)


차폐 연선(STP)과는 달리 외부의 전계, 자계 또는 다른 전송선에서 유도되는 전계, 자계로부 터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도전성 물질이 많은 피복을 둘러싸지 않은 연선을 말한다.


사용률(Utilization)


측정대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자원의 사용량(독자적이건, 종합적이건)으로, 백분율 (%)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busy%(률)로 나타낸다.


사용자지원(User Support)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시스템, 네트워크, 보안, 사무자동 화, 업무 절차 등에 관한 사용자 요청에 따른 지원 절차를 의미한다.


서비스(Service)


정보시스템의 운영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의미한다.


서비스데스크(Service Desk)


정보시스템 사용자와의 접점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창구의 역할 을 수행한다.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개선에 대한 요청을 받아 해결 하거나 또는 새로운 서 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다.


서비스 사용자(정보시스템 사용조직)


일반적으로 정보시스템을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현업의 근무자들을 일컫는다. 외부 아웃 소싱을 통한 정보시스템 운영을 하는 경우, 아웃소싱 관리부서도 이에 속한다.


서비스 수준관리(SLM : Service Level Management)


IT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기 위한 계획 수립에서부터 서비스 수준의 합의, 운영 프로세스에 대 한 모니터링, 리뷰 및 개선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적 관리 체계를 의미한다.


서비스 수준관리(SLM) 지원도구


정보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모니터링 및 수집하고, 관련 보고서 작성의 기 능을 가지고 있는 자동화 도구를 의미한다.


서비스 수준협약(SLA : Service Level Agreement)


IT 서비스 수준의 정량적 측정을 통해 서비스 운영 성과를 평가/관리하기 위하여 IT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요구되는 서비스 수준을 정의하고 이를 문서화한 계약 체계를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자(정보시스템 운영조직)


정보시스템 운영 관리를 수행하는 사람 및 조직을 일컫는다. 이들은 아웃소싱을 통한 외부기 관의 소속일 수도 있고, 기관내부의 정보시스템 운영부서의 소속일 수도 있다.


서비스 카탈로그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내역과 특성을 기술한 문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서 비스의 내역에는 서비스의 범위와 종류가 포함되며, 특성에는 해당 시스템의 속성과 요구되는 서 비스 특성 등이 포함된다.


서비스 타임(Service Time)


실제 request를 처리하는데만 사용된 시간(Queue 대기시간, Wait Time 제외) = actual processing time


서비스 항목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서비스 목록과 각 서비스에 대한 특징 및 상세 고객정보, 지원주체를 정의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세그먼트(Segment)


데이터베이스에서 세그먼트는 디스크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객체(Object)를 의미한다. 일반 적으로 테이블, 인덱스 등이 해당되며, 정의(Definition)만을 저장하는 View, Stored Procedure, 시퀀스 등과 구별된다.


세션(Session)


①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온하고 나서 로그오프하기 까지 사이를 나타낸다. ② 데이터 통신에서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가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셀프서비스(Self Service)


셀프서비스는 사용자가 IT지원그룹 전문가의 직접적 개입 없이 인터넷이나 무선통신을 이용 하여 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IT사용자는 정규 근무시간 이외의 서비스 요청 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서비스 요청사항에 대해 스스로 문제 해결방법을 관리함 으로써 운영비용을 줄이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소방시설


화재 발생시 감지하고 진화하는 시설이다.


수신기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생한 화재신호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에서 발하는 가스누설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장치로써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 하거나 소방관서에 통보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동시에 자동소화설비 등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하며, 종류로는 신호방식(고유신호 및 공통신호에 따른)에 따라 (P, R, M, GP, GR)형 수신기 및 (P, R, M, GP, GR)형 복합식 수신기가 있다.


수전방식(전력공급)


정전이나 전기사고에도 중단 없는 전산실 운영을 위한 전원 인입 방식을 의미한다.


순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FECN : 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중계 네트워크에서 수신 측에게 발신 장치에서 수신 장치까지 연결 경로에 통신 폭주 가 발생했음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통지를 말한다.


스왑(Swap)


윈도우 내에서 가상 기억 장치를 구현할 때 사용되는 파일. 보조 기억 장치에 만들어져 있으 며, 현재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보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마치 주 기억 장치의 일부분인 것처럼 사용된다.


스키마(Schema)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DBMS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대량의 자료들을 표현하 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자료의 구조 및 내 용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논리적, 물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들을 표현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자료의 독립성을 위하여 여러 계층의 스키마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하고 있다.


시각경보장치


자동화재탐지 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점멸형태 의 시각경보를 하는 장치이다.


시스템 백업(System Backup)


컴퓨터의 시스템 파일(OS 영역, 시스템 설정파일, 시스템로그 등)에 대한 정기적인 백업을 의 미한다. 데이터 백업과 구별하여 보통 OS(Operating System) 백업이라고 일컫는다.


쓰레드(Thread)


현재 작동 중인 한 태스크(작업)에서 작동할 수 있는 프로세스 또는 태스크보다 더 작은 하나 의 작업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작은 서브 모듈을 말한다.


아웃소싱


외부의 전문회사를 활용하여 기업활동의 일부를 수행하게 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핵심 역량 을 강화하여 내부적으로 전략적 이득을 추구하는 활동이다.


알려진 오류(Known Error)


문제에 대한 근본원인이 밝혀져서 향후 재발생시 참조 가능한 상태의 사건을 의미한다.


업무연속성계획(BCP :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정보기술부문 뿐 아니라, 인력·설비·자금 등 제반 자원을 대상으로 장애 및 재해를 포괄하 여 조직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예방 및 복구활동 등을 포함하는 보다 광범위한 계획을 의미한다.


업무연속성관리(BCM :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업무연속성계획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한 일련의 관리 과정이며, 조직이 재해로 인한 위험 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업무를 사전에 결정한 최소한의 수준으로 영위하기 위한 일련의 통제행위 이다.


에스컬레이션(Escalation)


기능적 에스컬레이션(Functional Escalation)과 수직적 에스컬레이션 (Hierarchical Escalation)이 있으며, 기능적 에스컬레이션은 협의한 시간에 장애 및 서비스 요청이 처리되지 못 할 경우 다음의 지원선으로 이관 처리하는 프로세스이며, 수직적 에스컬레이션은 서비스 요청에 대한 영향 규모나 위급성이 커서 서비스 요청처리를 책임 및 권한이 높은 상급자에게 이관하는 프 로세스이다. 본 지침서에서는 에스컬레이션에 대한 정의의 혼돈을 방지하는 의미에서 기능적 에 스컬레이션은‘이관’이라고 하고 수직적 에스컬레이션은‘에스컬레이션’이라고 정의한다.


역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BECN :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중계 네트워크에서 통신 폭주 경로에 도달한 프레임의 반대 방향으로 전송되는 프레 임에 사용되는 통지를 말한다. 역방향 명시적 폭주 통지(BECN)가 있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필 요하면 보다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에 의한 흐름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영구가상회선(PVC : Permanent Virtual Circuit)


패킷 교환망이나 ATM 망에서 특정 단말기간을 고정적으로 접속해서 가상 회선을 설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PVC 형태로 접속된 기기 간에는 언제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전용 회선과 동일한 감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오류 제어(error control)


전송 도중에 발생한 부호 오류를 검출하고, 정확한 정보를 재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오류 제 어 기술로는 오류 정정 부호에 의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FEC)과 오류 검출 부호 를 사용하여 재송신하는 자동 재송 요구(ARQ) 등이 있다.


오버플로우(Overflow)


산술 연산 결과의 오버플로우 때문에 생기는 오류. 이 오류 상태는 플래그 레지스터의 오버플 로우 플래그에 의해 표시된다.


온라인 처리 프로세싱(OLTP :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OLTP는 네트워크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단위작업을 처리하는 것으로 주로 신용카드 조회업무나 자동 현금 지급 등 금융 정보화 관련 부문 에서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온라인거래처리’라고도 불린다.


옵티마이져(Optimizer)


일반적으로 옵티마이져는 DBMS의 핵심 (소프트웨어) 엔진으로 SQL 문장의 내부 실행 계획 (Execution Plan)을 생성한다. SQL 코드 자체는 실행 절차(Execution Procedure)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처리해야할 데이터 집합의 범위만을 지정하고 있다. 따라서, 실행 계획 (Execution Plan)은 옵티마이져에 의하여 데이터의 분포도, 처리범위, 처리비용(Cost) 등을 고려 하여, 가장 효율적인 형태로 작성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옵티마이져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한다.


운영관리(Operation Management)


정보시스템 개발 이후, 시스템의 운영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요구되 는 관리로 수·발주측의 관리자가 수행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워크로드(Workload)


주어진 기간에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작업의 할당량을 의미한다.


원거리 통신망(WAN : Wide Area Networks)


광역통신망이라고도 불리는 원거리 통신망(WAN)은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중거리 통신 망(MAN)을 다시 하나로 묶는 거대한 네트워크로써, 하나의 도시, 나라, 대륙과 같이 매우 넓은 지 역에 설치된 컴퓨터들 간에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조직의 손실, 재해, 개인적 피해 등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절차 혹은 연속적인 행위(위험의 분 석, 평가, 대책 등)이다.


유지보수(Maintenance)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을 인도한 후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수정, 성능 향상, 또는 변화된 환경 에 대한 적응을 위한 수정을 의미한다.


응답시간(Response Time)


사용자가 응답을 받기까지 걸린 총 시간으로, wait time과 run queue 대기시간이 포함된다.


이더넷(Ethernet)


가장 대표적인 버스 구조 방식의 근거리통신망(LAN)이다.


이벤트(Event)


정보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벤트를 누적하여 향후 분석을 위해 지식(Knowledge) DB, 로그 형태로 관리 및 사용할 수 있다.


이중마루(Access Floor)


공조와 각종 케이블(전기, 통신, 데이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을 이중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익스텐트(Extent)


디스크 등의 직접 접근 기억 장치에서 특정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운영 체제 또 는 DBMS에 의해 확보된 연속적인 기억 공간의 단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상의 트렉을 기준으로 연속공간이 할당되므로 접근(Access)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저장 기법(단위)이다.


인덱스(INDEX)


인덱스란 색인 또는 지표 등의 뜻을 갖는 일반단어로, 정보통신 분야에서 인덱스는 색인 또는 지표의 뜻으로 파일이나 문서중의 특정내용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키(key), 또는 참조를 위한 기호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일반적으로‘표의 형식’으로 정의된다. 찾고자 하는 자료의 위치를 찾을 때 바로 이 색인(표)를 먼저 탐색하고, 참조기호에 의해 목적하는 데이터를 찾아낼 수가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탐색하는 것보다 빨리 찾아낼 수가 있다. 책의 끝에 있는 색인과 같 은 기능을 갖는다.


인식기


생체나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출입이력을 기록하는 장비를 말하며 지문감지기, 카드리더기 등이 있다.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TCP/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connectionless transmission)용 프로토콜(RFC. 792)이다. OSI 기본 참조 모델의 망 계층(Network Layer)에 해 당된다.


임계치(Threshold)


사전적 의미로는‘어떤 물리적인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계의 값’을 의미하며, 정보통신 부문에서는 장애상황 및 성능상태의 경계선으로써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Warning’과 ‘Critical’로 구분하여 설정하며, 기준치(Baseline)가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표준상태를 의미하는 것과는 달리, 정상적 상황과 비정상적 상황의 경계를 의미한다.


입지조건


전산실 운영에 영향에 미칠 수 있는 주변 여건을 의미한다.


장애(Incident)


정보기술서비스관리의 통제 가능성 관점에서 협의의 장애 개념으로써, 통제 불가능한 재해 (자연 재해와 인적 재해)를 제외한 발생원인 관점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적장애, 시스 템 장애, 기반구조 장애(운영 장애, 설비 장애 등 포함) 등과 같은 통제 가능한 요인들에 의한 정보 시스템의 기능저하, 오류, 고장 등이 해당된다.


재해(Disaster)


정보기술 외부로부터 기인하여 예방 및 통제가 불가능한 사건으로 인해 정보기술서비스가 중 단되거나, 정보시스템의 장애로부터의 예상 복구소요시간이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여, 정상 적인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피해


재해복구계획(DRP : Disaster Recovery Planning)


정보기술서비스기반에 대하여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의 빠른 복구를 통해 업 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반 계획을 의미한다.


재해복구센터


주센터에 반하여 재해에 대비하여 업무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원격지에 구축한 전산센터 로써, 원격지센터


전산실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및 정보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개발자가 상주하는 공간이다. 보통은 프로그램 개발을 요청하는 장소에 근접하여 전산실을 운영하고 전산센터의 경우 별도의 독립된 장소(건물, 층)에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산자원


업무를 전산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H/W(서버, 네트워크 장비), S/W(어플리케이션 프로 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상용 솔루션) 및 부대시설을 통칭한다.


접지


장비보호 및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상전기(Surge)나 정전기를 대지(Earth)로 흘려 보내는 시설이다.


정규화(Normalization)


데이터 처리에 관한 특정의 절차를 설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테이블 설계 시, 대상 엔티 티(Entity)의 구체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테이블을 분류하는 작업의 단계를 의미하며, 제1정규화 (1NF), 제2정규화(2NF), 제3정규화(3NF), 제3정규화의 변형(BCNF), 제4정규화(4NF), 제5정규 화(5NF)로 분류된다. 정규화는 깊어질수록 데이터 중복성이 줄어드는 반면 테이블 접근(Access) 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정규화는 속도 및 데이터 중복성의 Trade-off를 고려하여 제3 정규화(3NF) 또는 BCNF 단계에서 결정된다.


정렬 영역(Sort Area)


정렬 영역은 대상을 정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형태에 따라 개별 프로세스의 세션 메모리에 설정되거나,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영역에 설정되 기도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group by, order by, union 등과 같은 정렬처리 명령이 수행될 때 이 정렬 영역을 사용한다.


정보시스템 운영


구축된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원활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관리, 장애관리, 변 경관리 등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조정(튜닝)


튜닝은 조정이라는 뜻으로 컴퓨터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 는 일련의 개선 작업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성능의 척도는 실행 속도와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원의 크기로 결정되며, 튜닝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최소의 자원과 시간을 사용하여 작업 을 수행할 수 있도록 취해지는 일련의 개선 작업이다.


종합상황실


전기, 보안, 소방 등 주요 시설물의 가동상황을 감시하고 장애 발생시 조치를 수행하는 역할 을 담당하는 장소이다.


주기적 덧붙임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순환 2진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주센터


현재 사용중인 전산 인프라를 운영하는 전산센터로써, 주전산센터 혹은 주 사이트라 일컫기 도 한다.


중계기


감지기·발신기 또는 전기적 접점 등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받아 이를 수신기의 제어반에 전 송하는 장치이다.


지식관리 데이터베이스(KMDB : Knowledge Management Database)


장애 및 서비스 요청에 대한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여, 같은 장애 및 유사 장애 발생시 신속하게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특히 검색에 대한 탁월 한 기능이 필요하며 구성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부속 요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장애지식 데이터 베이스).


채널 서비스 장치(CSU : Channel Service Unit)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종단 장치이다. 장거리 통신 사업자들이 DS-0(64kbps), DS1(1.544Mbps), DS-2(6.312Mbps) 등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물리적 특성을 관리하기 위해 원 하는 고객의 구내에 설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나 다중화기(MUX)와 전용 회 선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및 버퍼로써 동작한다.


차단기


전기사고(누전, 과전류, 단락 등)로부터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설이다.


(실)처리량(Throughput)


① 특정시간 동안 실제 할 수 있는 작업의 량(what you really get) ② 대역폭 중 실제로 사용되는 capacity ③ 실제 처리량의 측정값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 받는다.(H/W, S/W, human, Random access) ④ 정확한 처리량 값의 측정은 불가능하며, 단지 근사치(Approximated value)만을 구할 수 있다. ⑤ 최대 처리량을 측정한다면 100% 사용율(utilization)에서 얼마나 많은 작업량이 가능한가 를 평가하는 것이 된다. 35


축전지


평상시 충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정전 발생시 충전된 전기를 방전하여 무 정전 상태로 유 지해 주는 시설이다.


출입기록


전산실에 출입하는 모든 출입자에 대해 인적사항과 출입목적 및 출입일자 등을 출입관리대장 에 기록하여 관리하거나 CCTV 및 출입통제장치를 사용하여 출입자의 출입기록을 관리하는 행위 를 의미한다.


출입통제장치


주요시설에 대해 허가되지 않은 자의 출입을 제한하고 허가된 자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 된 개폐장치이다.


충돌(Collision)


근거리 통신망에서 하나의 장치로부터 자료가 전송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장치에 의하여 자 료가 전송되어 통신 매체 상에서 상호 간의 신호가 충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측정 항목


정의된 서비스 항목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요소로써, 서비스 시간, 서비스 가동률, 응답속 도, 장애발생 건수 등이 해당된다.


침입방지 시스템(IPS : Intrusion Prevention System)


공격 시그니처를 찾아내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서 수상한 활동이 이뤄지는지를 감시하며, 자동으로 모종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그것을 중단시키는 보안 솔루션이다. 수동적인 방어개념의 방화벽이나 IDS와 달리 침입유도시스템이 지닌 지능적인 기능과 적극적으로 자동 대처하는 능동 적인 기능이 합쳐진 개념이다.


침입탐지 시스템(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방화벽과 함께 활용되는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으로 침입탐지시스템이 방화벽에 이은 차세대 보안 솔루션으로 부각되는 주된 이유는 방화벽이 해킹됐을 경우 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네 트워크 관리자 부재시에 시스템 자체적으로도 해킹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에 대한 요구 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침입탐지시스템이 이같은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기 때문이다.


커널(Kernel)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인 자원(메모리, 프로세서 등)을 관리 하며, 시스템이 원활히 돌아갈 수 있도록 제어해 준다.


커서(Cursor)


데이터베이스 내부에서 데이터 처리 또는 SQL 코드의 처리를 위하여 임시로 사용하는 메모 리 저장 영역이며, 공유 메모리나 혹은 프로세스 개별 메모리 영역에 위치한다. 커서(Cursor)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내부에서 사용되어지기도 하며, DBMS의 내 부 처리 과정(Recursive Processing)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로써 케이블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토큰링(Token Ting)


토큰링 기법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 기법은 링 형태에 사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으 나 지금은 모든 네트워크 통신망에 응용되고 있다. 토큰링은 완전한 분산 제어 방식으로, 토큰이 라는 전기적인 표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사용을 결정한다. 네트워크 상에 오직 하나의 토큰만이 존재하며, 이 토큰을 가진 노드만이 네트워크 사용 권한을 가지고, 독점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통합관리 콘솔(Integrated Management console)


관리 대상 자원들의 운영상태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소프트웨 어의 관리 화면을 말한다.


통합 모니터링


개별 모니터링 이벤트를 관리서버에 통합하여, 운영상태 관리 담당자의 콘솔을 이용하여 종 합된 이벤트들을 모니터링 하는 행위이다.


통합 운영상태관리 도구


통합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S/W로, 개별 모니터링 영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통 합하기 위한 표준 운영상태관리 S/W를 의미한다.


트래픽(Traffic)


데이터의 흐름이 항상 일정하게 흐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점에서 부하를 일으키는 것을 말 한다.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를 말하기도 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움직이는 데이터의 양 이나 어떤 종류의 트랜잭션 및 메시지 등의 양을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이란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중앙처리 시스템에 요구하는 일(작업)의 단위로써 한번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나타내는 말이다. 트랜잭션의 본래 의미는‘처리’로써, 구체적으 로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시스템 내에 머물러 있는 것을 말하며,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처리(update)하는데 기본이 되는 하나의 입력 메시지를 뜻하기도 한다. 온라 인시스템이나 시분할시스템에서 그 시스템의 단말기로 거래나 조회를 중앙처리시스템에 요구하 는 것으로써 데이터파일 등의 마스터파일에 변경, 추가, 삭제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트렁크(Trunk)


스위치 프레임에 수용되는 입출 회선에 설비되어 있는 장치를 말한다. 통화로의 일부를 구성 하고 그 감시 제어를 하는 것으로, 통화에 필요한 전류 공급, 신호 송출, 요금 산출 기구 등을 갖 는다.


트리거(Trigger)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참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 프로시저를 자동으로 호출하는 행동 이다. 트리거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등과 같은 데이터 변경에 관한 시도를 했 을 때 효력을 나타낸다. 트리거는 지정된 어떤 변경이 시도되면, 일련의 행동들을 취하도록 시스 템에게 알릴 수 있다. 트리거는 부정확하고, 허가 받지 않았으며, 일관성이 없는 데이터 변경을 방 지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파싱(Parsing)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문법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문법(Syntax) 체크와 의미론(Semantics) 체크를 수행하여 정 확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패킷(Packet)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묶음을 말한다. 각각의 패킷은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뿐 만 아니라 데이터 수신처, 주소 또는 제어 부호 등의 제어 정보까지 담고 있다.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공공 또는 사적인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송 기준이다. 데이터들은 각 각 같은 크기로 쪼개져 프레임 안에 저장된 뒤 전송된다.


항온항습기


전산실 내부의 일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시설이다.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주요 출입구 및 시설물 설치 장소에 설치하여 상황을 감시하고 녹화하는 장비이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인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어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 보관하기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DBMS는 데이터베 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수행과정인 데이터의‘추가’, ‘변경’, ‘삭제’, ‘검색’등의 기능을 집대성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관리해야하는 기관이나 기업의 정보시스 템 구축에 필요불가결한 소프트웨어로 주로 계층형과 네트워크형, 그리고 관계형(relational) DBMS가 존재한다.


Enqueue


동일 자원에 대한 동시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Enqueue는 이름에서 보듯 Queue를 통해 관리된다. 대상 자원에 대한 Owner, Waiter, Converter Queue를 관리하면서 먼 저 요청한 순서대로 Lock을 획득하도록 하는 구조이며, Exclusive 모드 뿐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공유를 허용한다. 대표적인 것이 테이블 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되는 TM, TX enqueue이다.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D는 개체관계도라고 하며, 언어로 기술된 사용자(대상자) 요구분석 사항을 그림으로 그려 내어 그 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 내의 대상(Entity)을 식별하여 프로그램의 소프트 웨어적 대상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식별되며, 객체(Object)를 추상적으로 기술하고 이들 간의 관계 를 구조화한 것이다.


FLB(or FWLB : Firewall Load Balancing)


Layer3 Device로써 작동하며 방화벽으로의 각 연결(connection)은 IP Subnet별로 분리된 다. FLB는 라우팅 기능으로 수행하며 FLB 결정에 Content 룰을 적용하지는 않는다.


ifInError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 에러 패킷의 개수를 말한다.


ifInUcastPkt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 유티캐스트 패킷 개수를 말한다.


ifInNUcastPkt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 비-유티캐스트 패킷 개수를 말한다.


ifInOctet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 트래픽의 Octets 값을 말한다.


ifOutOctets


전송되어 나간(outbound) 트래픽의 Octets 값을 말한다.


IfSpeed


인터페이스(Interface)의 Speed 값을 말한다.


IP 주소


IP 주소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을 접속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써, 인터 넷에 연결된 컴퓨터(기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32bit 숫자로 표현되는 고유 식별번호를 말한다.


IT지원그룹


서비스데스크를 제외한 IT서비스 운영조직을 일컬으며,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및 개선, 서버 및 PC, 프린터등의분산시스템관리, 네트워크회선및장비의운영등 2차, 3차지원선을포함한다.


MAC 주소(MAC address)


일종의 고유번호로써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를 말한다. 보통 랜카드의 주소라고 보면 되며 이 MAC 주소는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이다.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인시던트가 복구된 시점부터 다음 인시던트가 보고된 시점 사이의 평균 시간, 즉 Uptime을 말한다.


MTTR(Mean Time To Repair)


문제가 발생한 시점부터 복구한 시점까지의 평균 시간, 즉 Downtime을 말한다.


ping


현재 다른 시스템이 동작 중인지를 알아볼 때 쓰인다. ping의 기능은 IP 주소를 가진 시스템 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와 내 시스템과 상대 시스템간의 지연상태와 품 질상태를 알 수 있다.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는 열과 행으로 된 2차원의 표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말 한다. RDBMS는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형(relational database model)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 성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에 보급되어 있는 UNIX나 PC를 플랫폼으로 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대부분은 RDBMS이며, 기업내 정보시스템과 같이 데이터량이 많고 높은 신뢰성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RMON(Remote network MONitoring)


원격지 통신망의 통신 정보를 수집하여 해석하기 위한 기능의 한 종류이다.


SLB(Server Load Balancing)


특정 서버가 오버로드가 되지 않도록, 즉 네트워크 서버간 로드 분산을 위하여 서버간의 트래 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것이다.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평상시 고품질의 안정된 전원 공급과 정전 발생시 축전지를 이용하여 무 정전 상태를 유지해 주는 시설이다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리] IT용어정리  (0) 2022.03.24
Python 언어 과제물 A형 문제  (0) 2021.05.05

+ Recent posts